<앵커>
3기 신도시 사전청약이 모레(25일) 남양주 왕숙 2지구를 시작으로 연말까지 줄줄이 이어집니다. 그런데 이 지역들의 토지 보상은 지지부진한 상태입니다.
전형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813만 제곱미터 부지에 3만 8천 가구가 들어설 3기 신도시 고양 창릉.
12월 사전청약을 앞두고 있는데 토지 보상은 시작도 못했습니다.
보상금이 시세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며 원주민들이 반발해서입니다.
[신형은/고양 창릉 주민 : 저는 여기서 그냥 이렇게 제가 하고 싶은 것 하고 살고 싶은데 쫓겨나야 될 그런 상황인데. (보상가로는) 땅을 이 근방에 살 수가 없어요.]
12월 인허가가 완료되고 사전청약까지 시작되면 돌이킬 수 없을까 봐, 주민 대책위는 국토교통부의 보상가 책정을 취소해달라는 행정소송에 나섰습니다.
3기 신도시 중 하남 교산은 60%, 인천 계양은 80% 토지 보상 협의가 진행됐지만, 남은 주민들이 강력히 반발하고 있고, 12만 4천 가구가 들어설 남양주 왕숙, 고양 창릉, 부천 대장지구는 협의를 시작조차 못 한 상태입니다.
[김성달/경실련 정책국장 : (보상의 기준이 되는) 공시지가가 시세반영률이 매우 낮습니다. 그러니까 개발 후의 가치가 아니라 현재 가지고 있는 토지용도로서의 시세도 받지 못한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국토부는 보상 절차를 서둘러 3곳 모두 올해 안 보상금 지급에 착수하겠다고 밝혔지만, 공공이 헐값에 땅을 수용해 민간이 폭리를 취한 대장동 사태로 주민 반발이 더욱 거세지면서, 사업 추진의 난제로 떠올랐습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