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트럼프 코로나 대응 달랐다면 미국 사망자 40%는 살았을 것"

"트럼프 코로나 대응 달랐다면 미국 사망자 40%는 살았을 것"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코로나19 대처법이 달랐다면 미국 사망자의 40%를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현지시간 10일, 가디언과 워싱턴포스트는 이학 학술지 랜싯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보건정책 분석을 위해 구성한 위원회가 트럼프 행정부의 코로나19 대응책을 이같이 분석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보고서의 요지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코로나19 심각성을 간과하고, 건강보험 정책을 개편해 저소득층의 가입률이 줄면서 공공보건이 취약해졌다는 겁니다.

랜싯 위원회는 미국이 G7 국가 수준으로 코로나19에 대응했다면 16만 명은 숨지지 않았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위원회는 또, 미국의 지난 2018년 기대수명이 G7 국가 평균과 비슷하다고 가정했을 때 트럼프 행정부의 공공보건 정책이 달랐다면 사망자 46만 1천 명은 숨지지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위원회 보고서는 미국에서 코로나19 사망을 얼마나 줄일 수 있었는지 판단하기 위해 미국을 제외한 G7 국가의 사망률과 비교 분석했습니다.

랜싯 위원회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문제 외에도 미국의 공공보건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점도 팬데믹 사태로 악화된 이유로 꼽았습니다.

지난 2002∼2019년 미국의 공공보건 예산은 캐나다와 영국의 절반 수준인 3.21%에서 2.45%로 떨어졌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