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내총생산 대비 기업부채 증가 속도가 전 세계 주요 43개국 가운데 세 번째로 빠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민간투자 부진을 고려하면 늘어난 빚은 미래를 위한 투자보다는 당장 살아남기 위한 운영자금을 메우는 데 쓰인 것으로 보입니다.
29일 국제결제은행 통계를 보면 올해 2분기 말 한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99.3%로 전분기 대비 2.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상승폭은 43개 조사 대상국 가운데 3위였습니다.
1위는 싱가포르로 116.6%에서 119.5%로 2.9%포인트 뛰었고, 칠레가 2.2%포인트 오른 101.3%를 기록해 2위였습니다.
2분기 말 일본의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101.6%로 전분기 대비 0.2%포인트 올랐고 미국은 75.0%로 비율이 0.1%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습니다.
기업부채로 몸살을 앓고 있는 중국은 155.5%에서 154.5%로 1% 하락했습니다.
다만 GDP 대비 기업부채의 절대 수준을 놓고 보면 한국이 프랑스, 스위스, 일본 등 선진국보다 낮고 중국과 칠레를 비롯한 일부 개도국도 밑돕니다.
비중은 높지 않지만 증가 속도가 가파르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올해 설비투자가 역성장한 만큼 빠르게 늘어난 기업 빚은 투자보다는 인건비와 재료비 등 기업 운전자금 위주로 쓰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은 산업별 대출금 통계를 보면 운전자금 대출 증가율은 지난해 2분기 4%에서 올해 2분기 7.4%로 올랐습니다.
반대로 설비투자와 관련이 깊은 시설자금 대출 증가율은 10.3%에서 7.5%로 낮아졌습니다.
3분기 들어서는 운전자금 대출 증가율이 7.3%로 횡보했지만 시설자금은 6.5%까지 낮아지며, 운전자금 대출 증가세가 시설자금을 앞서게 됐습니다.
금융위기나 2012년 유럽 재정위기 때도 시설자금 대출 증가율이 운전자금 증가세보다 높았던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입니다.
LG경제연구원은 "업황이 나빠지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줄어들자 기업들이 운전자금 대출을 늘린 것으로 보인다"며 "대출을 받아 생산설비에 투자하거나 인수·합병에 쓰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