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친절한 경제] 소주 1잔 1천 원 시대?…다 오르고 내 월급만 내리네

<앵커>

수요일 친절한 경제, 권애리 기자 나와 있습니다. 오늘은 술 얘기네요. '서민의 술'로 불리는 소주 가격이 그동안 꾸준히 올라왔는데 소주시장 점유율 1위인 하이트 진로가 소주와 맥주 값을 다음 달에 또 올리기로 했다고요?

<기자>

참이슬 제품군의 출고가가 다음 달 9일부터 평균 6.95%, 7% 가까이 인상됩니다.

테라와 켈리 같은 맥주의 출고가도 6.8% 오릅니다. 단, 집에서 많이 마시는 500밀리 캔 가격은 동결하기로 했습니다.

앞서서 오비맥주도 이달, 지나갔죠. 11일부터 카스와 한맥 같은 대표 맥주 제품들의 출고가를 6.9% 이미 올려놓은 상태입니다.

이렇게 되면 소주 가격의 출고가는 평균 80원 선, 맥주는 100원 정도 오르게 될 텐데요.

그동안의 가격 전가 추이를 보면, 음식점에서 우리가 시키게 되는 소주 가격은 천 원 정도까지도 추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요즘 서울시내에서는 아주 번화가가 아니어도 소주와 맥주 한 병에 6천 원 정도 하는 거 어렵지 않게 봅니다. 더 비싼 데들도 있고요. 

이렇게 되면 앞으로 서울 시내 음식점의 소주와 국내 맥주 가격은 병당 7천 원 정도까지도 적잖게 보게 될 거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소주 한 잔에 1천 원 시대가 열리는 겁니다. 요즘 서울 시내 음식점 삼겹살 1인분 가격은 평균, 평균이 1만 9천 원을 넘습니다.

둘이 가서 삼겹살 딱 2인분만 시키고, 소주 맥주 한 병씩만 시켜서 소맥 조금만 마시자 해도 최소 4만 3천 원은 각오해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앵커>

주류업계가 올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가격을 올리지 않겠다고 했었는데, 입장을 바꾼 이유는 뭡니까?

<기자>

연초 이후로 소주의 주원료인 알코올이죠, 에탄올. 주정의 가격이 10.6%, 새 병 가격은 21.6%까지 올라있습니다.

더 이상은 가격 인상 요인을 감내하기 어렵다는 게 제조업체들의 입장입니다.

물가 상승세가 부담스러운 정부가 아예 대놓고 라면이나 소주 같은 대표 서민 품목들을 지목해서 가격 인상을 자제해 달라고 당부해 왔고요.

업계도 여기에 부응하는 모습을 보여왔지만, 더 이상은 감당하기가 어렵다는 거죠.

사실 오르는 건 소주만이 아닙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3분기에 서울 수도권의 420개 유통업체에서 생활필수품 39개 품목을 정해서 가격을 조사해 봤더니요.

37가지, 39가지 품목 중에서 37가지가 지난해에 비해 올라서 평균 8.3% 인상률을 보였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케첩은 보시는 것처럼 지금 거의 30% 가까이, 그리고 고추장, 마요네즈, 쌈장, 아이스크림 같은 품목들도 20% 안팎씩 올라 있다는 겁니다.

지난해보다 상승률이 10%를 넘는 품목이 3분의 1을 넘는 15개 품목에 달했습니다.

달걀과 식용유만 지난해보다 약간씩 가격이 떨어져 있는 걸로 조사됐습니다.

이렇게 모두 오르고 있으니, 비용 상승 부담도 서로서로 주고받게 되는 겁니다.

<앵커>

물가가 정말 안 오르는 게 없는데, 그에 반해서 이 근로자들의 임금은 참 오르지 않고 있습니다. 통계가 어제(31일) 새로 나왔죠?

<기자>

올해 들어서 8월까지 우리나라 임금근로자들의 월평균 임금, 그러니까 상용근로자와 일용직을 모두 합친 건데요.

이걸 합친 평균이 391만 6천 원 정도입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 2.1% 올랐습니다.

세금을 떼기 전에 액수가 이렇다는 건데요.

그런데 이 기간에 소비자물가상승률은 7%나 됩니다.

그래서 실제 물가를 반영한 실질임금, 내가 이 돈으로 어떻게 먹고살 수 있나를 가늠할 수 있는 실질임금은 353만 원 수준으로 줄어버려서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 오히려 실질임금은 1.6% 감소한 것이나 마찬가지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렇게 실질임금이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실제 소비도 줄어들고 있죠.

물가가 올라서 돈을 더 쓰는 걸로 보일 뿐 실제로는 외식도 덜 하고 장도 덜 보고 옷도 덜 사 입고 놀러 가는 데 쓰는 돈까지 휴가철이었는데도 약간 줄었다고 전에도 여기서 분석해 드린 적이 있습니다.

게다가 금리가 높아지면서 가계가 쓸 수 있는 여윳돈이 더 빡빡해지고 있는 것도 있고요.

우리나라 물가가 서구 선진국들과 비교해서는 상대적으로 약간 덜 오른편이긴 하지만, 그만큼 경기도 둔화한 상태이기 때문에 당분간 고통 지수는 좀 높은 상태로 이어질 수밖에 없을 걸로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