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일본 원전 오염수 논란에 정부 "바다 위서 1시간 내 검사"

<앵커>

일본이 계속 늘어나는 원전 오염수를 올해 여름쯤 바다로 방류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일본의 오염수 방류에 대비해 바닷물 방사능 검사를 더 자주 하고 조사 지역도 늘리고 있습니다.

대응이 얼마나 강화된 건지 효과는 있을지 먼저 조기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부산 연안여객터미널에서 한 시간 넘게 항해한 뒤 도착한 대한해협 생태구 부산 5번 정점.

해양수산부 환경조사선이 장비를 내려서 해수면 50cm 아래 바닷물을 채취합니다.

이렇게 채취된 표층수는 방사성물질이 저장 용기에 달라붙는 걸 막기 위해 염산 처리된 뒤 해양환경공단 연구실로 보내집니다.

연구실에서는 해수와 해저 퇴적물, 해양생물 등을 대상으로 세슘과 플루토늄, 삼중수소 등 7개 항목의 검사가 진행됩니다.

[고병설/해양환경조사연구원장 : (채취)정점에서 저희가 격월로 지속적으로 해양 방사성 물질 모니터링을 통해서 유해한 핵종이 특이사항이 있는지에 대해서 계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를 대비해 2019년 32개였던 조사 대상 지역을 올해 52개로 확대했습니다.

다만 방사성 물질이 있는지 알려면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현행 인력과 장비로선 세슘은 최소 2주일 이상 분석 시간이 필요합니다.

해수가 방사능에 오염됐을 때 시간적 공백이 생긴다는 겁니다.

이에 대해 해수부는 수산물은 짧게는 3시간 안에 방사능 오염도 결과를 알 수 있고, 선박 평형수 검사의 경우 이동식 방사능 측정 장비를 도입해 분석 시간을 1시간 이내로 줄일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정경문, 영상편집 : 유미라, CG : 제갈찬·전유근)

▶ 지금도 많은데…'국산 둔갑' 일본 수산물 어쩌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