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여권이 차기 회장 선임 절차를 본격화한 BNK금융을 상대로 정치 공세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정치권의 BNK흔들기가 반복돼 왔는데요. 지역 금융 장악 시도를 멈추라는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주우진 기자입니다.
<기자>
내년 차기 회장을 선임하는 BNK금융은 지난달부터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가동하며 관련 절차를 밟고 있습니다.
그런데 후보 접수 뒤 1차 후보군 압축이 시작되자 기다렸다는 듯 여권과 금융당국이 BNK금융을 흔들고 있습니다.
금융 감독기구 수장인 금융감독원장이 이례적으로 선임 절차에 문제를 제기하며 강경 발언을 한 게 시작입니다.
[이찬진/금융감독원장 : 지주의 회장이 되시면 일종의 이사회들을 자기 사람으로 해서 일종의 참호를 구축하시는 분들이 좀 보입니다.]
PK민주당 국회의원들은 BNK금융 부산은행이 도이치모터스에 특혜 대출한 의혹이 있다며 공세를 퍼부었습니다.
[김정호/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 윤석열 정권과의 권력형 유착 의혹으로 공정성과 투명성을 생명으로 하는 금융기관의 본질을 근본부터 흔드는 중대한 사건입니다.]
하지만 문제의 대출은 빈 회장 취임 전의 일이고 논란이 될만한 빈 회장의 정치 행보도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장이 제기한 선임 과정 하자 의혹도, 금융감독원 가이드라인을 따르고 있다는 게 BNK 측 입장입니다.
[박인호/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 상임대표 : 외부에서의 압력이라던지 간섭은 바람직하지 못하고 시대에도 뒤떨어지는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 것은 부산 시민을 무시하는 것 아닌가 이런 생각이 듭니다.]
과도한 인사 개입 우려가 커지면서 민간 금융기업의 자율성을 요구하는 지역의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박언국 KNN, 영상편집 : 김범준 KNN)
KNN 주우진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