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중국에 관세를 매기겠다고 나선 미국이 당장 중국에서 들어오는 소포를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전방위적 보복 조치를 발표했던 중국이 어떻게 대처할지, 베이징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권란 특파원, 중국에서 미국으로 가는 소포가 꽤 많을 텐데 이걸 막으면 중국에서 어떤 피해가 예상됩니까.
<기자>
네, 일단 내려진 조치는 중국에서 미국으로 들어가는 국제 소포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금지되는 물량이 말씀하신 대로 아주 많아서 하루 평균 약 300만 개가 될 전망입니다.
미국은 그동안 개인이 수입하는 800달러 이하의 물품에 소액 면세 제도라는 걸 적용해 왔는데요.
대중국 관세 행정명령이 발효되면서 더 이상 소액 면세가 되지 않게 됐습니다.
소포로 물건을 발송하면서 면세 제도를 적극 활용해서 세를 넓혀왔던 알리, 테무, 쉬안 같은 중국의 온라인 쇼핑몰들이 바로 직격탄을 맞게 됐습니다.
<앵커>
중국 외교부가 오늘(5일) 정례 브리핑을 했잖아요. 새로운 조치를 발표한 게 있습니까.
<기자>
미중 무역 전쟁의 포문이 열린 이후에 중국 정부가 첫 외신 기자를 상대로 브리핑을 연 거여서 더 관심이 쏠렸는데요.
일단 중국발 소포 반입 차단 조치에는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직접 들어보시죠.
[린젠/중국 외교부 대변인 : 미국이 경제·무역 문제의 정치화·도구화, 중국 기업에 대한 무리한 탄압 등을 중단할 것을 촉구합니다.]
어제 전방위 반격을 쏟아냈던 만큼 추가 조치는 내놓지 않았습니다.
다만 "필요한 조치는 계속 취할 것"이라면서 "미국의 대응을 지켜보겠다" 이런 뜻을 내비쳤는데요.
중국은 미국 기업 제재의 일환으로 구글의 반독점법 위반 혐의 조사를 시작한 데 이어서 빅테크 기업, 인텔 조사도 검토 중인 걸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트럼프가 시진핑 주석과 24시간 안에 통화하겠다고 했었는데 이건 어떻게 됐고, 또 두 나라가 대화할 여지가 남아 있는지 얘기해 주시죠.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했던 24시간 내 대화는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양측은 사실상 협상을 계속하겠다는 이런 뜻을 내비쳤습니다. 직접 들어보시죠.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적절한 시점에 시진핑 국가주석과 통화할 것입니다. 서두르지 않습니다.]
[린젠/중국 외교부 대변인 : 현재 필요한 건 일방적 관세 인상이 아니라 평등과 상호 존중의 대화와 협상입니다.]
중국이 대미 관세 부과 시점을 오는 10일로 잡았기 때문에 그사이 물밑 접촉을 통해서 대화의 진전을 이룰 수 있을지가 관건입니다.
(영상취재 : 최덕현, 영상편집 : 김종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