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자동차·배터리 초긴장…'미 정책' 소통 강화

<앵커>

미국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우리 자동차와 배터리 기업들은, 트럼프 재집권 소식에 분주해졌습니다.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는 트럼프가 정책을 어떻게 바꿔놓을지에 따라 기존 전략을 통째로 수정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인데요. 우리 정부도 대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한지연 기자입니다.

<기자>

자동차 업계는 비상입니다.

트럼프의 공언대로 10~20%의 보편적 기본관세가 도입되면, 전체 수출에서 미국 비중이 절반을 차지하는 국내 자동차 업계로서는 가격 경쟁력 하락과 수출 감소가 우려되기 때문입니다.

전기차 의무화 폐지도 변수입니다.

미국 내 전기차 점유율 2위로 전기자 전용공장까지 지은 현대차그룹으로서는 하이브리드 차량 비중 확대 등 전략을 새로 짜야할 상황입니다.

[김주홍/한국자동차산업협회 전무 : 저희들 입장에서는 통상 정책 변화에 대해서 상당히 좀 우려를 하고 있어요. (미국 현지) 전기차 전용 공장을 지었는데, IRA에 변화가 있게 되면 전기차뿐만 아니라 현재 잘 팔리고 있는 하이브리드 생산까지도 같이 좀 검토를….]

'배터리' 업계도 분주해졌습니다.

트럼프는 인플레이션 감축법, IRA를 '녹색 사기'로 비난하며 폐기를 공언했는데, 현실적으로 폐기되기는 어렵다 해도 우리 기업들이 누려온 IRA 수혜 규모가 줄어들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올 상반기 한국 배터리 회사 세 곳이 받은 첨단제조 세액공제는 약 8,400억 원에 달합니다.

주력 업종의 불확실성이 한층 커졌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대중국 견제 조치를 강화할 경우 미국 내 투자를 늘려 온 반도체, 배터리 등 일부 업종은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다는 전망도 있습니다.

[안덕근/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그간 큰 규모의 대미 투자와 공급망 다변화를 진행해 온 만큼 기회 요인도 분명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트럼프 정책기조가 현실화될 경우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이 상당할 것이라며 선제 대응에 나섰습니다.

[최상목/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금융외환시장, 통상, 산업 등 외부로부터 영향이 큰 3대 분야는 각각 별도 회의체를 가동하겠습니다.]

트럼프 2기 정부의 정책 수립 때 우리 의견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대화 채널을 통해 소통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 김균종·황인석, 영상편집 : 김진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