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책 없는 '리튬 화재'…"리튬 배터리 전용 소화약제 개발"

<앵커>

리튬은 휴대전화나 노트북, 전기차의 배터리에도 들어갑니다. 이렇게 리튬은 우리 일상에서 많이 접하는 화학물질이지만, 한번 불이 나면 마땅한 대처 방법이 없다는 게 문제입니다. 리튬 배터리 전용 소화기가 있기는 한데, 인증 기준도 아직 없는 상태입니다.

정준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리튬이온 배터리에 충격을 가하자 불꽃이 사방으로 뿜어져 나옵니다.

순식간에 배터리가 녹아내리고 불길에 휩싸입니다.

리튬 배터리에 불이 붙으면 순식간에 1천도 이상으로 온도가 치솟는 열폭주 현상이 발생합니다.

열폭주로 인한 화재는 일반 소화기로는 끌 수 없습니다.

이번 화재 초기에도 공장 직원이 일반 분말 소화기를 뿌렸지만, 폭발은 걷잡을 수 없이 커졌습니다.

[최현호/한국화재감식학회기술위원장 : 리튬 금속이 있는 여기(배터리)에는 불의 적응성이 없어요. 진압이 안 됩니다.]

모래나 팽창질석 등으로 덮어 산소를 차단하는 게 효과적이지만 1분도 안돼 연쇄 폭발이 이어지는 상황에서는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물을 사용하는 건 수소가스를 발생시켜 위험하다는 의견과 뾰족한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는 그나마 나은 방법이라는 의견이 엇갈립니다.

이번 화재 당시에도 소방당국은 폭발이 조금 잦아든 뒤 남은 리튬의 양이 많지 않다고 보고 진화에 물을 썼다고 밝혔습니다.

실제 전기차에 불이 나면 냉각 효과 등을 위해 대량의 물을 부어 불을 끕니다.

하지만, 공장처럼 면적이 넓은 곳에서는 단시간에 많은 양의 물을 쏟아붓는 게 쉽지 않습니다.

[이용재/경민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열폭주가 일어나고 있는데 엄청난 양의 물을 부으면 막을 수 있어요. 단시간 내에 그 무지막지한 양을 뿌려야 된다라는 게 현실성이 없는 거예요.]

리튬 배터리 전용 소화기는 공식적인 인증 기준조차 아직 마련되지 않았습니다.

리튬 배터리 소화기

인터넷 등을 통해 리튬 배터리 소화기가 판매되고 있지만, 효과는 미지수입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은 오늘(25일)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리튬 배터리 등 화학물질에 유효한 소화약제를 개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정경문·하 륭, 영상편집 : 박정삼, 화면제공 : 한국전기안전공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