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억 마리 이상 폐사"…급격한 기후 변화에 사라진 꿀벌

<앵커>

지난달 한파와 폭설에 제주에서 꿀벌 집단 폐사가 1년 만에 다시 발생했습니다. 제주 양봉 농가 20%에서 접수된 피해 신고만 꿀벌 1억 마리가량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김동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귀포시의 한 양봉 농가입니다.

벌통으로 가득 차 있어야 하지만, 곳곳이 텅 비었습니다.

꿀벌들이 집단 폐사하면서 벌통을 치운 겁니다.

아직 꿀벌이 남아 있는 벌통을 열어봤습니다.

여왕벌이 있기는 하지만, 군집 규모 자체가 턱없이 부족합니다.

[김상현/양봉 농가 : 이게 벌이 점점 밖에 나가면 죽어서 안 들어와.]

320개가 넘었던 벌통은 이제 20개 정도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양봉을 포기해야 할지, 농가는 헛웃음만 나올 뿐입니다.

[김상현/양봉 농가 : 재작년부터 농가들이 벌이 점점 없어진다고 자주 말했는데, 올해는 나도 이런 결과가 나와서 상당히 마음이 아파요.]

벌들로 가득 차 있어야 할 벌통은 이처럼 벌들이 많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런 꿀벌들의 집단 폐사는 제주 전역에서 계속되고 있습니다.

가장 큰 원인은 지난달 급격한 기온 변화와 고질적인 병해충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지난달 17일 18.7도까지 올랐던 낮 최고기온은 불과 6일 만에 20도 가까이 떨어졌습니다.

기온이 올라 활동을 시작한 벌들이 갑자기 추워진 날에 적응하지 못해 폐사한 겁니다.

현재까지 제주지역 양봉 농가의 20% 이상인 90여 농가, 1억 마리가 넘는 꿀벌이 폐사했다는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하지만 지원책은 턱없이 부족합니다.

[강원명/제주자치도 친환경축산정책과장 : 실질적으로 응애류에 대한 만성 마비병이나 일반질병 피해가 큰데, 그런 부분의 지원이 확대돼야 하고, 보험 적용이 될 수 있는 항목을 정부에 지난 회의 때에도 건의했습니다.]

제주에서는 지난해 1월에도 갑작스러운 기온 변화 등으로 2억 마리 이상의 꿀벌이 폐사하면서 14억 원이 넘는 피해가 발생한 바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 기온과 꿀벌 병해충 발생으로 양봉 산업의 피해가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보다 현실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영상취재 : 강명철 JIBS)

JIBS 김동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