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정원 "해킹 68% 북한 소행…김정은 지시로 목표 정해"

<앵커>

지난해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 해킹 공격이 크게 늘었는데, 대부분 북한 소행으로 나타났다고 국정원이 오늘(24일) 밝혔습니다. 국정원은 김정은이 해킹 목표를 진두지휘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정혜경 기자입니다.

<기자>

국정원이 밝힌 지난해 공공분야 대상 국제 해킹조직의 공격 시도는 전년 대비 36% 늘어난 하루 평균 162만여 건입니다.

공격 건수 자체 대부분은 북한 소행이었지만 피해 규모나 수법 등 심각도를 반영할 경우, 북한이 68%, 중국이 21%로 나타났습니다.

북한은 특히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시와 관심에 따라 공격 목표를 신속하게 바꾸는 특성을 보였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식량난 해결을 지시한 지난해 초에는 주로 국내 농수산 기관이, 해군력 강화를 강조한 8~9월에는 국내 조선업체, 무인기 생산강화 지시를 내린 10월에는 국내외 무인기 엔진 관련 기관이 해킹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정원은 북한이 우방국인 러시아 방산업체도 해킹을 여러 차례 시도해 군사 정보를 빼돌렸고, 최근에는 보안 정책이 강화된 금융기관에서 개인 보유 가상자산으로 공격 대상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해커로 추정되는 인물에 우리 위성 통신망이 처음으로 뚫릴 뻔하기도 했습니다.

이 해커는 국내 기관이 사용하는 신호를 수집 분석한 뒤 정상 장비로 위장해 행정망 침투를 시도하려다 차단됐습니다.

국정원은 50개국 이상이 선거를 치르는 올해, 각종 선거 개입과 정부 불신 조장을 위한 가짜뉴스 등 해킹 공격이 심화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특히 피싱 사이트나 악성코드도 제작하는 생성형 AI 도구들도 등장함에 따라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영상편집 : 최혜영, 디자인 : 이민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