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5개월 만에 또 ICBM 쏜 북…'미 본토 위협' 전력화 수순

<앵커>

북한이 어제(18일) 발사한 대륙간탄도미사일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에 맞서 한미일 공동 대응을 적극 추진하라고 지시했습니다. 고체 연료를 사용한 화성 18형 발사에 북한이 연거푸 성공한 것으로 추정되면서 미국 본토까지 위협할 수 있는 이 미사일의 실전 배치에도 북한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최재영 기자입니다.

<기자>

북한의 고체 연료 ICBM은 지난 4월 처음 발사된 것으로 군은 보고 있습니다.

당시 발사체는 점화 없이 발사대에서 튕겨 나온 뒤 흰색 연기를 치마 모양으로 뿜어내는 고체 연료 특유의 콜드론치 방식을 선보였습니다.

하지만, 발사된 미사일은 최고 고도가 3천km에 그쳐 성공으로 보기는 어려웠습니다.

이어 지난 7월에 쏜 고체 연료 ICBM 화성-18형은 최고 고도 약 6천km, 비행 시간 74분, 비행 거리 약 1천km를 기록했습니다.

어제 발사된 미사일과 수치가 거의 같은데, 비행 제원이 7월 발사 때와 비슷하게 안정적으로 나온 점에서 화성-18형 발사에 다시 성공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장영근/한국국가전략연구원 센터장 : 지난 7월 달에 발사한 거랑 거의 동일한 거예요. 똑같은 방식으로 쏜 거 같아요.]

북한의 미사일 개발과 전력화 패턴에 따르면 한두 차례 시험 발사를 더 한 뒤 화성-18형의 전력화, 즉 실전 배치를 선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신종우/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 : 북한 입장에서는 1, 2차 발사를 통해서 고체 엔진을 사용하는 ICBM을 두 번이나 단 분리까지 다 성공을 시켰습니다.]

다만, 타격 능력은 의문입니다.

발사체에서 최종 분리된 탄두가 대기권을 뚫고 떨어질 때 충격과 열을 견디는 재진입 기술을 북한은 갖고 있지 않습니다.

재진입 기술을 확보하려면 태평양 먼바다로 정상각으로 미사일을 발사해야 하는데 이는 미국과 일본을 직접 위협하는 차원이 다른 도발입니다.

(영상편집 : 이승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