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고체연료 ICBM 또 성공…'미 본토 사정권' 전력화 수순

<앵커>

들으신 대로, 북한이 오늘(18일) 쏜 건 미국 본토 전역이 사정권에 들어가는 대륙간탄도미사일로 추정됩니다. 우리 군은 북한이 지난 7월에 이어 오늘까지 두 차례 연속 고체연료를 쓴 ICBM 발사에 성공한 걸로 보고 있는데, 실전 배치에 더 속도가 붙을 걸로 예상됩니다.

계속해서 최재영 기자입니다.

<기자>

북한의 고체연료 ICBM은 지난 4월 처음 시험발사된 걸로 군은 보고 있습니다.

당시 발사체는 점화 없이 발사대에서 튕겨 나온 뒤, 흰색 연기를 치마 모양으로 뿜어내는 고체연료 특유의 콜드론치 방식을 선보였습니다.

하지만, 발사된 미사일은 최고 고도가 3천 km에 그쳐 성공으로 보기는 어려웠습니다.

이어 지난 7월 쏜 고체연료 ICBM 화성 18형은 최고고도 약 6천 km, 비행시간 74분, 비행거리 약 1천 km를 기록했습니다.

오늘 발사된 미사일과 수치가 거의 같은데 비행 제원이 7월 발사 때와 비슷하게 안정적으로 나온 점에서 화성 18형 발사에 다시 성공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장영근/한국국가전략연구원 센터장 : 지난 7월 달에 발사한 거랑 거의 동일한 거예요. 똑같은 방식으로 쏜 거 같아요.]

북한의 미사일 개발과 전력화 패턴에 따르면 한두 차례 시험발사를 더 한 뒤 화성 18형의 전력화, 즉 실전배치를 선언할 걸로 예상됩니다.

[신종우/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 : 북한 입장에서는 1, 2차 발사를 통해서 고체 엔진을 사용하는 ICBM을 두 번이나 단분리까지 다 성공을 시켰습니다.]

다만, 타격 능력은 의문입니다.

발사체에서 최종 분리된 탄두가 대기권을 뚫고 떨어질 때 충격과 열을 견디는 재진입기술을 북한은 갖고 있지 않습니다.

재진입기술을 확보하려면 태평양 먼바다로 정상각으로 미사일을 발사해야 하는데 이는 미국과 일본을 직접 위협하는 차원이 다른 도발입니다.

(영상편집 : 이승열)

▶ 5개월 만에 ICBM 쏜 북…윤 대통령 "한미일 공동 대응"
▶ 여름 이어 겨울에 ICBM 쏜 이유?…북 추가도발 카드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