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제22대 총선 레이스 시작…"내가 뛸 운동장은 어디에?"

<앵커>

내년 총선이 이제 넉 달 남았습니다. 앞으로 주요 일정을 살펴보면, 먼저, 오늘(12일)부터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됐습니다. 선거 석 달 전인 내년 1월 11일까진 공무원 같은 입후보 제한직에 있는 사람은 사퇴해야 하고, 총선에 나갈 사람들은 3월 21일과 22일 이틀 동안 후보자 등록을 마쳐야 합니다. 22대 총선 본 투표는 4월 10일 수요일이고요. 그 전인 5일과 6일 이틀 동안 사전 투표가 치러집니다. 이렇게 총선을 120일 앞두고 본격적인 레이스가 시작됐지만 선거구나 비례제도 같은 기본 규칙이 아직도 제대로 정해지지 않아서 현역의원들에게만 유리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학휘 기자입니다.

<기자>

전국 253개 지역구에서 예비 후보자 등록이 시작됐습니다.

[경기 부천시을 선관위 관계자 : 문구 수정이 필요하거나 하면 연락드릴게요.]

예비 후보가 되면 선거 사무소를 설치할 수 있고 홍보용 어깨띠 착용, 선거용 명함 배부, 후원회를 통한 모금도 1억 5천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공정 경쟁을 위해 예비후보에게 어느 정도 선거 운동을 허용하는 건데 정작 이들이 뛰어야 할 운동장, 즉 선거구는 아직도 미확정 상태입니다.

[서영석/국민의힘 부천시을 예비 후보자 : 내가 과연 어느 지역에 가서 선거 운동을 해야 이게 적정한 건지에 대해서 의문을 갖게 되고.]

[김기표/민주당 부천시을 예비 후보자 : 아무래도 현역 의원들이 늦게 정할수록 유리하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좀 해보게 됩니다.]

지난 5일 선거구 획정위원회가 인구 변동 사항을 반영해 선거구 획정안을 마련했는데, 원래 지역구가 4개였던 부천은 3개로 줄어들었습니다.

전국으로 넓혀보면 인구 감소로 지역구가 합쳐지는 곳은 6곳, 인구 증가로 늘어나는 곳도 6곳입니다.

서울 종로구 선거구를 종로구 중구로 조정하는 등 구역이나 경계를 조정한 곳도 20곳입니다.

문제는 획정위안 역시 여야 협상에서 달라질 수 있다는 겁니다.

[김영배/민주당 의원 (지난 5일) : 어처구니없는 결과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획정안에 대해서 단호히 반대한다….]

[김상훈/국민의힘 의원 (지난 6일) : 이건 어느 특정 정당이 유리하다, 불리하다의 문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비례대표 제도를 놓고도 여당은 정당 득표율에 따라 의석수를 배분하는 병립형을 주장하는 반면, 야당은 여러 안을 놓고 고심 중입니다.

여야 입장 차로 선거제도와 선거구 모두 해를 넘겨야 결정될 가능성이 큰데 정치 신인은 물론 참정권에 제한을 받는 국민이 결국 최대 피해자입니다.

(영상취재 : 전경배·양두원, 영상편집 : 이승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