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북한의 즉각 행동…9·19 합의 파기, 어디까지 가나?

<앵커>

이 내용 안정식 북한전문기자와 더 짚어보겠습니다. 

Q. 북, '9.19 합의 파기 선언' 뒤 즉각 행동?

[안정식 북한전문기자 : 9·19 합의 파기 선언한 바로 다음 날부터 행동에 나선 걸 보면 북한은 이미 행동 계획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북한의 첫 행동이 GP 복원이었다는 부분은 좀 생각해 볼 대목이 있습니다. 우리가 9·19 합의 효력 정지시키면서 감시 정찰부터 복원을 한 건 우리가 그만큼 시급했다는 거잖아요. 북한도 자기들이 생각할 때 가장 시급한 것부터 행동에 나섰을 텐데 그게 GP 복원이었다는 건 뭐냐, 우리처럼 감시정찰자산이 부족한 북한 입장에서는 군인들을 직접 투입해서 눈으로 상대방을 볼 수 있는 GP가 그만큼 긴요했다, 이런 의미로 볼 수도 있겠습니다.]

Q. 9· 19 합의 파기, 어디까지 갈까?

[안정식 북한전문기자 : 현재 9·19 합의 가운데 실질적으로 남아 있는 건 두 가지 정도입니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즉 JSA 구역을 비무장화한 거 하고요. 휴전선 인근에서 각종 군사훈련을 중지한 겁니다. 그런데 지금 북한 행동을 보면 JSA 경비병들을 무장시키고 비무장지대나 서해북방한계선 인근에서 포사격 훈련 같은 것, 곧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이렇게 되면 우리 군도 거기에 상응해서 JSA 경계병들 무장시키고 백령도나 연평도에서 포사격 훈련 재개하는 방향으로 갈 것 같은데요. 결국 시간이 얼마나 걸리냐가 문제지 9·19 군사합의가 전면적으로 유명무실화되는 상황으로 가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Q. 남북 군사충돌 가능성은?

[안정식 북한전문기자 : 북한으로서는 이번 사태는 남한이 초래한 거다, 그러면서 당분간 긴장을 계속 고조시킬 가능성이 높은데요. 북한이 보기에 우리 군한테 허점이 있다 싶으면 국지 도발할 가능성도 있고요. 우발 충돌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우리 군이 철저히 대비를 해서 북한이 혹시라도 다른 마음을 먹지 않도록 대비를 철저히 해야 될 것 같습니다.]

▶ 북, GP 복원 중화기 투입…"상응 수준으로 대응"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