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트라우마 회복의 조건, 충족하지 않았다"

<앵커>

이태원 참사는 유족과 생존자, 목격자는 물론이고 우리 사회 전체에 큰 상흔을 남겼습니다.

이 트라우마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 조동찬 의학전문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조 기자, 1년 전의 참사를 사실 어떻게 받아들이냐 이것 개인마다 다르기는 할 텐데, 우리 사회 좀 전체를 놓고 봤을 때는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요?

<기자>

대형 참사의 트라우마는 저절로 회복되지 않습니다.

의학계에서는 우리 사회가 아직 트라우마 회복의 조건을 충족하지 않았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나도 거기에 있었으면 큰일 났겠구나' 이것이 이태원 참사 트라우마의 본질인데, 이것을 없애려면 확실한 재발 방지 대책이 마련돼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주최자 없는 행사에 관한 법률이나 행안부 매뉴얼이 이태원 참사 이전과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미국이 2021년 휴스턴 공연장 압사 사고 이후 공연장의 안전망 매뉴얼을 5개월 만에 바꾼 것과 대조적입니다.

올해는 경찰도 많이 투입되고 시민 개개인도 조심하겠죠.

하지만 기억이 흐려지는 어느 순간, 위험은 그대로 드러날 것이라는 것이 학계의 경고입니다.

<앵커>

그러면 시간이 정말 더 가기 전에 확실한 재발 방지책 마련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겠네요. 진상 조사 이야기를 좀 여쭤볼게요. 지난 1년 동안 충분하지는 않았어도 진상을 밝히려는 시도가 있기는 있었는데, 그 과정에서 혹시 짚어볼 것은 없을까요?

<기자>

의학적인 관점으로만 생각해도 대형 참사의 진상 조사에는 정확성과 투명성 못지않게 피해자 참여가 중요합니다.

그런데 이태원 참사 피해자들은 국정조사 공청회에 단 한 차례 참여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데요.

피해자가 충분히 참여하지 않는 조사는 갈등의 원인이 된다는 것 기억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럼 이제라도 우리 사회가 이태원 참사의 트라우마를 좀 이겨내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합니까?

<기자>

학계에서 모범 사례로 꼽는 것이 있습니다.

2011년 노르웨이에서 정부 청사에 폭탄이 터지고 청소년 캠프에서 총기가 난사돼서 77명이 숨진 사고입니다.

그런데 당시 노르웨이가 내놓은 대책은 더 많은 민주주의와 인도주의였습니다.

범인이 이민자 가족이었는데 제대로 교육받지 못한 것이 근본 원인으로 조사됐기 때문입니다.

노르웨이 여야, 정쟁 멈추고 이민자 청소년 프로그램을 치유책으로 내놨습니다.

우리 사회가 트라우마를 여전히 겪는 것은 이태원 참사가 정쟁으로 주로 쓰였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참사를 함께 풀어야 할 숙제로 인식해야 회복의 씨앗이 뿌려진다는 것이 노르웨이 사례의 교훈입니다.

<앵커>

우리 정치권이 그 이야기를 꼭 새겨들으면 좋겠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미제공 댓글 정책에 따라
이 기사에서는 댓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