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북한 주민이 당한 가혹행위가 스쿼트? 영문판 '공개망신'

<앵커>

통일부가 지난 3월 북한 인권 실태를 담은 북한 인권보고서를 내고, 한 달 뒤 영문판을 만들어 홈페이지에 올렸습니다.

이 보고서는 미국 정부에도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는데, 북한의 열악한 인권을 고발하는 이런 공식적인 문서에 잘못되고 엉뚱한 표현들이 쓰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원종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통일부는 지난 3월 북한인권보고서를 일반에 처음 공개한 뒤 열악한 북한 인권 실태를 전 세계에 알리려 영문판을 만들었고, 미국 정부와 시민사회에도 배포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런데 영문판 보고서에 "정확성을 보증하지 않는다"는 면책 조항이 들어간 사실이 드러나 대통령실 감찰에 이어 통일부 담당 국장이 대기 발령 조치됐습니다.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최초 공개본과 최종본을 비교해봤습니다.

북한 주민이 당한 '앉았다 일어났다 100회 가혹행위'를 하체 운동을 의미하는 '100 squat'로 표현했다 최종본에서 수정했습니다.

북한 기관의 영문 명칭도 틀렸는데, 조선노동당의 영문 명칭인 Korean Worker's party 대신 영국 노동당을 의미하는 Labor Party가 사용됐습니다.

북한 정부가 걷어가는 토지세를 5천 원~1만 원이라며 한국 원화 단위로 잘못 썼다가 북한 원화로 고쳤는데, 화폐 가치로 7배 정도 차이가 납니다.

보고서는 대통령실 감찰이 시작되기 전까지 한 달간 통일부 홈페이지에 게재됐습니다.

[김경협/국회 외교통일위원 (민주당) : 이런 것 하나하나가 실제로 나라의 국격과 직결되어 있고, 나라의 얼굴이기 때문에 당연히 지적해서 이런 일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통일부는 국내외 요청에 신속히 대응하려고 영문판을 만들었지만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며, 정식 검수를 받은 최종본을 지난 7월 발간했다고 해명했습니다.

(영상취재 : 양두원·양현철, 영상편집 : 유미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