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내신 비중 떨어지고, 수능 비중 높아지고…전망은?

<신용식 기자>

내신 변별력은 떨어지고, 수능 변별력은 높아진다.

입시전문가들의 반응은 대체로 이랬습니다.

내신 등급별 비율이 확대돼 높은 등급을 받는 사람이 늘겠지만, 그만큼 촘촘한 비교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변별력이 떨어진 내신보다 수능으로 학생을 평가해야 하므로 결국 '불수능'이 될 거라는 분석이 많습니다.

[임성호/종로학원 대표 : 내신 변별력이 떨어지면 우선 대학에서 현행 수시선발 방식 유지가 어려워질 수도 있습니다. 특목고 자사고 선호도 현상도 대단히 높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개편에 따른 역효과 우려도 나오는데, 진로와 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도록 하겠다는 '고교학점제' 도입 취지에 어긋나고, 수능 탐구영역에 고1 때 배우는 통합사회, 통합과학만 반영돼, 고2, 고3 사회과학 수업은 외면당할 거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교육부가 제시한 심화수학 과목이 신설되면 학생들의 학습 부담은 더 커집니다.

[성기선/가톨릭대학교 교직과 교수 : 문제 풀이에 급급하고 고난도가 나오지 않을 수 없는 거죠. 학습량과 사교육 증가는 불 보듯 뻔하다 이렇게 생각하고요.]

수능 점수의 9등급 상대 평가제와 객관식 문항 체제를 손보지 않은 점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홍민정/사교육걱정없는세상 공동대표 : 내신 상위 등급 증가에 따라 수시 학생부 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상향할 가능성이 큽니다.]

전반적으로 선택과목 유불리와 기형적인 내신 구조를 해소할 거라는 기대와, 국·영·수 중심의 학력고사로 회귀하는 것 같다는 우려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박진호·주용진, 영상편집 : 박정삼, CG : 조성웅)

▶ 올해 중2 부터 '내신 5등급제'…수능 문 · 이과생 같은 과목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