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삼성 · SK 중국 반도체 공장에 미국산 장비 허용"

<앵커>

1년 전, 미국 정부가 중국에 대한 미국의 반도체 장비 수출을 사실상 금지했습니다. 당시 중국에 생산공장을 둔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같은 우리 기업에는 1년 동안 이 조치를 미뤄줬는데요. 이 유예 조치가 사실상 무기한 연장됐습니다.

보도에 한지연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내 반도체 공장을 '검증된 최종 사용자', VEU로 지정했다고 대통령실이 공식 발표했습니다.

VEU는 사전에 승인된 기업에 한해 지정된 품목에 대한 수출을 허용하는 일종의 포괄적 허가 방식입니다.

이에 따라 앞으로 별도의 허가 절차나 기간 제한 없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중국 내 공장에 미국산 장비를 들여놓을 수 있게 됐습니다.

[최상목/경제수석 : 이번 미국 정부의 결정은 우리 반도체 기업의 최대 통상 현안이 일단락됐음을 의미합니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 공장에서 낸드플래시 생산의 40%, SK하이닉스는 우시와 다롄 공장에서 D램과 낸드플래시를 각각 40%와 20% 생산하고 있습니다.

미국산 반도체 장비 수출 허용으로 한숨은 돌리게 됐지만, 중국 사업 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된 건 아닙니다.

반도체지원법에 따라 미국의 보조금을 받으려면 우리 기업들이 중국 내 생산시설을 대폭 확대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중국 내 공장 증설보다는 장비 업그레이드를 통한 생산 규모 유지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기현/한국반도체협회 전무 : 중국 내 대한민국의 제조 기술의 업그레이드는 지속적으로 하면 되겠고, 대신 장기적으로 신규투자분에 대해서는 한국 내 투자를 지속적으로 하면 될 것 같습니다.]

대통령실은 미중 무역 갈등의 전개 양상에 따라 새로운 통상 규제가 생길 수도 있는 만큼, 상황을 주시하며 기업들과 협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주 범, 영상편집 : 박지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