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회의원 미리 돌려받아"…라임, 특혜 환매·횡령 추가 적발

<앵커>

투자자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안겼던 2019년 라임 사태 당시 민주당 국회의원이 투자금 2억 원을 미리 돌려받았던 걸로 금융 감독원 조사 결과 확인됐습니다. 4년이 지난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해 소송을 벌이고 있는데 유력 인사들에게만 투자금을 빼 준 걸로 드러나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조윤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2019년 라임자산운용이 펀드 돌려 막기로 부실을 감춰 오다 결국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까지 간 이른바 '라임 사태'.

피해 투자자는 4천여 명, 환매 중단 금액은 1조 6천7백억 원에 달합니다.

[사기꾼들 도망간다. 하루빨리 조사하라!]

금융감독원이 라임과 옵티머스, 디스커버리 펀드 등 사모펀드 사건 재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라임이 환매 중단을 선언하기 직전, 다른 펀드 자금과 운용사 고유 자금을 동원해 유력 인사들에 돈을 돌려줬다고 밝혔습니다.

모 국회의원이 투자금 2억 원을 미리 돌려받았고 한 상장사는 50억 원을, 중앙회는 200억 원을 돌려받았다는 겁니다.

또, 라임 펀드가 투자한 5개 회사가 2천억 원을 횡령한 사실도 적발됐습니다.

옵티머스 펀드와 관련해서는 전파진흥원 전 기금운용본부장이 1천억 원을 펀드에 투자한 대가로 1천만 원을 받았고, 자녀도 관계사에 취업시켰습니다.

금감원은 디스커버리 펀드에서도 펀드 돌려 막기와 임직원 횡령 사실을 적발했습니다.

[함용일/금융감독원 부원장 : (투자자 구제를 위해) 구체적인 사실관계 조사 등 추가 확인을 거쳐 분쟁 조정을 적극 실시토록 하겠습니다.]

금감원 발표 이후 특혜성 환매 의혹 당사자로 지목된 더불어민주당 김상희 의원은 "미래에셋에 자산을 맡기고 수천만 원의 손해를 보았을 뿐, 특혜 환매를 한 바는 없다"며 부인했습니다.

전 정부 봐주기 의혹이 일었던 3대 펀드에 대해 금감원이 재조사를 하고 검찰에 추가 수사를 의뢰하면서 정치권에 적지 않은 파장이 일 거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영상취재 : 김균종, 영상편집 : 김호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