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삼성, 전경련 재가입 수순…"조건부 복귀 권고"

<앵커>

국정농단 사태 때 전국경제인연합회, 전경련은 정경유착의 고리로 지목되며 한때 해체 위기까지 갔었습니다. 당시 삼성을 포함한 4대 그룹이 잇따라 전경련을 탈퇴했는데, 약 6년 만에 삼성의 준법감시위원회가 재가입을 조건부 용인했습니다.

전경련 부활에 힘을 실게 될지, 정반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2016년 12월 18일, SBS 8뉴스 : 미르와 K스포츠 재단 자금 모금에 나서 정경유착의 창구라는 비난을 산 전경련이 존폐의 기로에 섰습니다.]

2016년 국정농단 사태 당시 전경련이 정치권의 요청에 따라 자금을 모으는 창구 역할을 한 게 드러나면서, 4대 그룹은 전경련을 탈퇴했습니다.

[이재용/당시 삼성전자 부회장 (지난 2016년 12월 6일 SBS8뉴스) : 해체라는 말을 꺼내기가 제가 자격이 없는 것 같고요. 저희는 (전경련을) 탈퇴하겠습니다.]

그 후 6년여 만에 삼성 준법감시위원회가 전경련 복귀 여부를 논의했는데, 결론은 '조건부 허용'이었습니다.

[이찬희/삼성 준법감시위원장 : 전경련에 만일 가입하는 경우 정경유착 위반 행위가 있을 경우에 즉시 탈퇴할 것을 권고하는 것 이외에 다른 조건들도 권고했습니다.]

다만, 위원회는 "전경련 혁신안은 선언단계로 정경유착의 고리를 근절할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다"고 부정적인 의견을 냈습니다.

삼성 측은 오는 22일 전경련 임시총회를 앞두고 각 계열사 이사회를 거쳐 복귀 여부를 판단할 방침인데, 이재용 회장의 입장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복귀 명분이 미흡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권오인/경실련 경제정책국장 : (준법감시위는) 삼성그룹의 정경유착 근절이라든지 이런 것들을 목적으로 탄생한 조직인데 오히려 이번에 내린 결정은 스스로 존재가치가 없음을 증명한….]

삼성의 결정은 현대차, LG, SK의 복귀 판단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VJ : 김영래, 영상편집 : 김준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