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힌남노 피해 입은 포항, '카눈' 북상에 긴장…주민 대피 명령

<앵커>

이번에는 지난해 태풍 힌남노로 큰 피해를 입었던 경북 포항의 상황 알아보겠습니다.

사공성근 기자, 포항 주민들은 더 긴장할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기자>

네, 맞습니다.

현재 포항에는 약한 빗줄기가 흩날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바람이 거세지고, 먹구름도 늘어나면서 태풍이 가까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말씀하셨던 것처럼 포항은 지난해 힌남노의 피해가 컸습니다.

그래서 곳곳에서 긴장하면서 대비에 나서고 있습니다.

제가 있는 포항 동빈내항에는 어선 등 600여 척의 선박이 대피해 항구가 가득 찼습니다.

포항시 전체로 보면, 1천340여 척의 선박이 육지와 항구로 대피한 상황입니다.

지난해 태풍 힌남노 때 하천 범람으로 9명의 사망자를 냈던 냉천의 피해 복구 작업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무너지고 쓰러진 곳곳이 아직 완벽히 복구되지는 않았기 때문에 더 많은 비가 내릴 경우에 또 다른 피해가 이어지지는 않을까 우려됩니다.

<앵커>

포항시가 주민대피 행정명령을 내렸다고요?

<기자>

네, 포항시는 어제(8일) 재해 약자와 취약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또 전체 시민들에게 선제적으로 대피할 것을 명령했습니다.

또 시민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마을회관과 학교 등 시내 140여 곳의 대피 주거시설도 마련했습니다.

포항시는 태풍의 직접 영향권에 들기 전까지 취약지역에 주거하는 시민들을 모두 대피시키겠다는 방침입니다.

지난해 사상 초유의 침수 사태를 겪었던 포스코 등 포항 산단에도 또다시 비상이 걸렸습니다.

포스코는 각 출입구마다 침수를 막기 위해 20m 길이의 차수문을 설치했고, 현대제철 등은 24시간 비상상황근무에 들어가면서 대비하고 있습니다.

이곳 포항은 특히 태풍의 위험 반원인 오른쪽에 위치했기 때문에 내일 새벽부터 오전까지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습니다.

(영상취재 : 양지훈, 영상편집 : 최은진, 현장진행 : 김대철)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