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노쇼 방지금' 음식값 절반"…공정위 기준도 넘은 갑질 논란

식당을 예약한 뒤에 나타나지 않는 이른바 '노쇼 방지'를 위해 예약금을 미리 받는 문화가 확산하면서 너무 과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오! 클릭> 세 번째 검색어는 '잘 나가는 식당의 예약금 갑질'입니다.
예약석

최근 A 씨는 서울 강남의 한 식당을 예약하면서 황당한 경험을 했습니다.

4명 예약을 하면서 1인당 20만 원짜리 코스 요리를 주문하겠다고 했더니 식당 측으로부터 예약금으로 1인당 10만 원, 총 40만 원을 요구받았다는 겁니다.

예약하고 안 오는 것을 막기 위한 이른바 '노쇼 방지금'이라는 설명을 들었다는데요.

음식값의 절반을 예약금으로 요구하는 게 과하다고 생각하면서도 업주의 입장이 이해가 안 가는 것도 아니라서 일단은 40만 원을 입금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예약 당일 1명이 몸살에 걸렸고, A 씨는 식당 측에 20만 원짜리 코스요리 3개만 주문하겠다고 전했다는데요.

이에 대해 식당 측은 80만 원부터가 최소 식사비 조건이라며 변경이 불가하다고 얘기했고, 가격에 부담을 느낀 A 씨의 환불 요청도 거절했다고 합니다.

공정위 소비자 분쟁 기준에 따르면, 돌잔치나 회갑연 같은 연회시설을 운영하지 않는 외식업의 경우 예약보증금은 총 이용 금액의 10%를 넘지 않도록 하고 있는데요.

누리꾼들은 "핫한 식당은 예약금 기준도, 환불 기준도 그들만의 세상" "고의적 노쇼가 아닌데도 너무 과한 듯" "공정위 기준대로 하면 자영업자한테 너무 가혹함"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