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김영호 통일장관 후보자 '대북 강경 발언' 쟁점

<앵커>

김영호 통일장관 후보자는 평소 SNS와 언론 기고문을 통해서 대북 강경 발언을 해 왔던 사람입니다. 또 차관급인 공무원 인재개발원장에 임명된 김채환 전 교수는 SNS를 통해서 확인되지 않은 주장을 펼치기도 했었는데, 이런 점을 들어 민주당은 부적합한 인사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이어서 김학휘 기자입니다.

<기자>

김영호 통일부장관 후보자는 지난 2018년부터 개인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북한 김정은 체제를 강력히 비판했습니다.

'북핵 문제의 유일한 해결책은 김정은 전체주의 체제의 파괴'라거나 "김정은 정권을 타도해야 통일의 길이 열린다"는 대북관을 분명히 했습니다.

북한을 압박해 도발을 억제하는 현 정부의 대북 외교 노선에는 맞겠지만, 북한과 대화, 교류도 병행해야 하는 통일부 장관직에는 부적합한 인사라는 비판이 야당에서 나왔습니다.

김 후보자는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배상 책임을 인정한 2018년 대법원 판결을 반일 감정의 산물이라는 취지로 말하기도 했습니다.

[김영호/통일부 장관 지명자 (지난 2019년 7월) : 판결문을 여러분이 보시게 되면 전부 다 반일 종족주의적인 생각에 사로잡혀 있는 겁니다.]

차관급인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장으로 내정된 김채환 전 서울사이버대 교수의 유튜브 발언도 논란입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퇴진 촛불시위에 중국 공산당이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하는가 하면,

[김채환/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장 내정자 (지난 14일) : 중국은 당시 대한민국에 유학 온 7만여 대학생들 전체를 동원할 수 있었고, 그들을 일사불란하게 촛불 시위에 참여하도록 했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 아닙니까.]

긴급 명령을 발동해 종북 세력을 해체해야 한다고도 했습니다.

민주당은 황당무계한 가짜 뉴스를 퍼뜨리는 사람에게 공무원 교육을 맡기겠다는 거냐며 비판했고, 대통령실은 교육과 소통 능력이 뛰어난 분을 찾았고, 그에 합당하다고 판단해 임명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영상취재 : 조춘동, 영상편집 : 채철호)

▶ 취임 1년 1개월 만에 인사 대폭 교체…방통위원장은 빠진 이유?
▶ '역도' 장미란, 문체부 차관 됐다…'비서관' 5명 전면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