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청년 선호 직장 '이전 공공기관' 채용…"부울경 벽 허물어야"

<앵커>

지역 청년들에게 이전 공공기관은 가장 선호하는 직장 가운데 하나입니다. 하지만, 지역 인재 채용에 있어서는 부산, 울산, 경남 간의 진정한 광역 단위 채용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요. 각 지자체 간 이해관계가 청년들의 채용 문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주우진 기자입니다.

<기자>

경남과 울산은 혁신도시 공공기관의 지역 인재 채용을 '광역화'했습니다.

의무적으로 소재지의 학생을 일정 비율 이상 채용해야 하는데, 채용 대상 지역을 양 시도로 넓힌 겁니다.

지난해 첫 광역 채용 결과, 두 지역 공공기관 모두 지역 인재 채용률이 크게 올랐습니다.

인재 풀이 넓어지자, 의무 채용 비율 30%를 훨씬 초과해 지역 학생들을 뽑은 겁니다.

특히 경남 학생들의 울산 취업이 두드러져, 채용 기회 확대 효과를 톡톡히 누렸습니다.

부산은 이런 상황을 그저 바라만 볼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당초 광역화 논의 범위가 부울경이었지만 울산과 경남의 반대로 부산은 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부산에 대학과 학생이 더 많다 보니, 수적 우위에 밀려 일자리를 잠식당할까 우려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광역 채용의 효과를 제대로 보려면, 부산까지 포함시켜야 한다는 지적이 계속 나옵니다.

[우기열/부경대 신소재시스템공학과 4학년 : 굉장히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부족해서 광역화로 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젊은 친구들에게 맞는, 필요한 일자리가 생긴다면 상경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부울경 광역은 돼야, 특정 대학 출신 편중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 인재 채용 비율도 더 늘릴 수 있는 인재 풀이 만들어진다고 보고 있습니다.

[노지영/부산시 혁신도시지원팀장 : 전공에 따라서 응시할 수 있는 공공기관이 한정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울산과 경남의 졸업생과 저희 (부산의) 졸업생이 보다 폭넓은 채용의 기회를 다양한 분야에서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판단하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정부에 건의해 부산 포함 광역 채용을 공론화시킨다는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 김태용 KNN, 영상편집 : 전금채 KNN)

KNN 주우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