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원전 오염수 '빈손 시찰' 막는 법, 전문가에게 물었다

<앵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시찰단이 이번 달 말 현장에 갑니다. 일본 정부가 안전성 평가는 아니라고 선을 그으면서 자칫 일본의 논리에 활용되는 거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는 데, 그렇다면 어떤 점을 잘 따져봐야 할지 저희가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정구희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직후, '아표층'이라고 불리는 수심 300~500m의 해류를 따라 방사성 물질인 세슘이 퍼져 나갔습니다.

태평양 지역 평균적인 세슘 농도는 ㎥당 1~2Bq인데, 일본 바다에서는 10Bq 넘게 관측됐습니다.

8~9년 정도가 지나면 세슘이 동남아시아와 타이완, 일본 규슈 지역까지 넘어와 농도를 대략 1% 정도 상승시킵니다.

후쿠시마 세슘을 추적 연구하는 서울대 조양기 교수는 이 정도라면 일본 이외 지역의 수산물에 당장 큰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라고 평가합니다.

[조양기/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 (일본 외 지역에서) 수산물뿐만 아니라 소금 이런 것들까지 전부 우리가 앞으로는 취하기 어렵지 않겠냐 라는 그런 걱정은 좀 과도한 부분이 아닌가.]

다만 버려지는 방사성 물질의 양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 있어서 일본이 바다의 방사선량을 얼마나 촘촘하게 측정하는지 확인할 것을 강조합니다.

[조양기/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 어떤 지점에서 모니터링을 할 것인지 구체적인 정보를 얻어올 수 있다면, 오염수의 해양에 영향을 예측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일본은 안전성 평가는 아니라며, 오염수 정화 설비와 관리 능력을 보여주는 데 집중할 겁니다.

그래서 시찰단은 오염수를 해상에 방류하지 말고 지상 탱크에 저장하는 대안이 있는데 일본이 선택하지 않는 이유도 물어야 합니다.

반감기가 세슘은 30년, 삼중수소는 12년이기 때문에 방류 시점을 10~20년만 늦춰도 농도를 크게 낮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같은 맥락에서 후쿠시마 어민들에게 보상하는 근거를 따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김경민/한양대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 보상을 해줬다고 하면 해양 방류가 결코 안전하지 못하다는 걸 거꾸로 반증하는 거 아니겠어요?]

정부는 정치적 고려 없이, 다양한 전문가들로 시찰단을 구성해야 하고, 그 전문가들은 과학적 근거로 논쟁을 해야 빈손 시찰을 막을 수 있습니다.

(영상취재 : 전경배, 영상편집 : 김진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