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전경련-게이단렌, 미래파트너십 기금 운영 계획 등 발표

<앵커>

한국과 일본의 재계 단체가 미래파트너십 기금을 함께 조성한다고 발표했죠. 두 단체는 후속 조치로, 기금 운영위원회와 자문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합의했습니다. 강제동원 피고 기업인 미쓰비시 중공업과 일본제철도 기금사업에 참여할지는 여전히 불투명합니다.

도쿄 박상진 특파원입니다.

<기자>

한국 전국경제인연합회와 일본 게이단렌은 오늘(10일) 기자회견을 열고 미래파트너십 기금의 운영방향과 계획 등을 발표했습니다.

김병준 전경련 회장 직무대행과 도쿠라 마사카즈 게이단렌 회장이 운영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고 한일 각각 3명의 위원을 두기로 했습니다.

실무적 조언을 담당할 자문위원회의 경우 한국 측은 강성진 고려대 교수가, 일본 측은 후카가와 와세다대 교수가 각각 참여하기로 했습니다.

[김병준/전경련 회장 직무대행 :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발전을 위한 재단의 사업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적극 추진해 나갈 예정입니다.]

앞서 두 단체는 지난 3월16일, 윤석열 대통령의 일본 방문 시점에 맞춰 각각 10억원 씩 출연하는 기금 창설을 공개했습니다.

두 단체는 공동사업에 대해 기금을 통해 젊은 인재 교류를 촉진하고 산업 협력을 강화하겠다면서, 양국의 대학 교류와 한국 고등학교 교사의 일본 방문, 학생들의 인턴십 등을 검토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반도체 공급망과 에너지 안보 등 분야는 물론 녹색 전환 등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두 단체는 오는 7월 6일 서울에서 한일산업 협력 포럼을 열어 반도체 산업 협력 등을 논의할 계획입니다.

단,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소송의 피고 기업인 미쓰비시 중공업과 일본제철의 기금 참여는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도쿠라/일본 게이단렌 회장 : 두 회사도 참여할 수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사업 주제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회사 사정도 있을 텐데 이를 존중할 것입니다.]

전경련 측은 삼성,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의 경우 현시점에선 참여하지 않지만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영상취재 : 한철민·문현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