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북한이 핵 공격해오면 미국이 핵으로 보복' 명문화 추진

<앵커>

윤석열 대통령이 국빈 방문을 위해 오늘(24일) 미국으로 떠났습니다. 우리와 미국은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반도에서 북한이 핵으로 공격할 경우 미국이 핵으로 보복 대응한다는 내용을 문서로 만드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먼저 김아영 기자입니다.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12년 만의 미 국빈 방문길에 올랐습니다.

현지 시간 26일 백악관 정상회담과 27일 미 의회 연설 등 5박 7일간의 일정을 소화하는데, 미국의 확장억제 약속의 실효성을 얼마나 구체화할 수 있느냐가 핵심 의제로 꼽힙니다.

외교 소식통은 북한이 핵을 사용하면 핵으로 보복 대응하는 방안을 문서화하는 안을 두고 한미가 막판 조율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담는 식이 아니라 별도 문서로 나올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한국의 전략자산 전개 요청에 미국이 응한다는 내용을 넣어 전략자산의 기획, 실행에 한국의 참여를 확대하는 내용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은 지난해 핵 정책을 법제화하면서 핵 선제 사용 가능성을 열어뒀고, 국내에서는 미국이 제공하는 핵우산의 신뢰성에 대한 회의적 여론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

북한뿐 아니라 한미 역시 핵에는 핵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을 정상 차원에서 확인하겠다는 취지로 보입니다.

[존 힐/미 국방부 미사일방어담당 부차관보 (지난 18일, 하원 군사위 전략군소위원회 청문회) : 만약 북한이 핵 공격을 한다면 그 순간 (미국의) 전략적 억제 수단으로 핵 보복이 역할을 하게 되는 순간이 될 것입니다. 이건 진심입니다.]

우리 정부는 또 이번 정상회담에서 양국 외교, 국방차관이 참가하는 고위급 확장억제 전략협의체를 장관급으로 올려 상시 채널로 가동하기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한반도 위기 상황에서 보다 신속한 의사 결정이 가능해지고 우리 측의 참여 수위도 격상돼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다는 평가입니다.

(영상취재 : 주범·최준식·김용우, 영상편집 : 박춘배)

▶ 'IRA' 풀려고 미국 가는데…"중국 돕지 말라" 벌써 압박?
▶ 쉽지 않은 이번 '미국 국빈 방문'…최우선 과제와 전망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