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제주 국가위성운영센터 가동…위성 운영 임무 본격 착수

<앵커>

국가 저궤도 인공위성을 통합 운영하는 국가위성운영센터가 지난해 11월부터 제주에서 본격적인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향후 제주가 전문 인력 양성과 위성 정보를 활용한 경제활동의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

안수경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11월 제주에 문을 연 국가위성운영센터입니다.

우리나라가 쏘아 올린 인공위성을 관제하고 위성 정보를 처리하는 기관입니다.

특히 제주는 지리적 이점은 물론 전파 간섭이 거의 없어 위성 정보를 수신 받기에 최적지로 꼽혔습니다.

[정대원/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장 : 안테나 주위에 전파원이 굉장히 있으면 혼선이 일어납니다. 그런데 저희가 (국가위성운영센터를) 설치한 곳은 전파 환경이 고요합니다.]

현재 다목적 실용위성인 아리랑 3호 등을 이관받아 운영 중입니다.

오는 6월까지 추가로 다목적실용위성 5호와 차세대중형위성 1호 운영을 순차적으로 이관 받을 예정입니다.

더욱이 우리나라 저궤도위성은 현재 4기에서 2030년 70여 기까지 늘 것으로 예상됩니다.

위성 수가 늘면 관제와 영상처리 등 센터에 상주하는 전문 인력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대원/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장 : 국가적으로 위성을 그렇게 많이 만드니까 그것을 (운영)하기 위한 시설을 계속 추가해야 합니다. 지속적으로 제주에 시설 확충과 기술 개발, 인력을 보강할 계획이 있습니다.]

위성 정보를 활용한 경제활동 연구도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올 들어 제주자치도와 위성 영상을 활용한 산림 훼손 사례 연구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위성 정보 보급과 활용을 위한 인프라가 갖춰지면서, 제주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과 위성정보 활용 플랫폼 구축이 절실해 지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강명철 JIBS, 화면제공 : 국가위성운영센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