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유엔 대북 제재위 "북, 해킹으로 핵 개발 자금 충당"

<앵커>

북한이 지난해 해킹으로 최대 1조 원대 가상 화폐를 훔쳤고, 이 돈을 핵 개발 자금으로 썼을 가능성이 있다고 유엔 안보리 산하 대북 제재 위원회가 밝혔습니다. 지난해 일흔 세 차례 탄도미사일 발사에도 이 돈을 썼을 수 있다고 위원회는 지적했습니다.

이 소식은 장민성 기자입니다.

<기자>

유엔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가 전문가 패널 보고서를 통해, "북한의 해커 조직들이 지난해 사상 최대 규모의 가상화폐 자산을 훔쳐 핵무기 개발 자금을 충당한 걸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사이버보안업체 분석 등을 인용하며 8천2백억 원에서 최대 1조 3천억 원 규모의 가상화폐를 해킹을 통해 벌어들였다는 겁니다.

북한 정찰총국의 통제를 받아 해킹에 나선 조직으로는 '김수키', '라자루스 그룹', '안다리엘' 등을 적시했습니다.

이들 조직은 항공우주·방산 기업, 에너지 회사 등을 노려 피싱 등 다양한 방법으로 악성 소프트웨어를 심어 이득을 취하거나 정보를 요구한 걸로 전해졌습니다.

이렇게 벌어들인 자금은 결국, 핵무기 개발에 쓰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서는 분석했습니다.

북한이 핵실험을 하지는 않았지만 꾸준히 핵물질을 생산하고 있다며, 거액의 자금은 지난해 8차례의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시험 발사를 포함해 73차례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 데 쓰였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서는 해커 단체를 이끈 북한 정찰총국의 리창호 국장 개인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안보리에 권고했습니다.

(영상편집 : 김종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