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금도 많은데…'국산 둔갑' 일본 수산물 어쩌나

<앵커>

정부가 철저히 검사한다지만, 국내 수산물 업계와 소비자들은 불안할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일본산 수산물을 국내산인 것처럼 속이지는 않을지 걱정이 큽니다.

홍승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울산의 한 수산시장. 특별사법경찰관들이 원산지 표시를 확인합니다.

[권인호/울산시 민생사법경찰과 수사관 : 살아 있는 수산물 같은 경우는 모든 품목이 다 원산지 표시 대상이고….]

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정부와 지자체는 오염수 검사와 수산물 안전성 점검을 강화하기로 했지만 시민들의 불안은 여전합니다.

[곽창석/부산 부산진구 : 소비자 입장에서 최종적으로 사람 몸에 그게(오염 물질) 쌓이게 될 텐데. 저 또한 안 먹을 거니까 이제 앞으로….]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원산지 미표시와 허위표시가 늘지 않을지도 걱정입니다.

최근 3년간 일본산을 국내산으로 거짓 표기하거나 아예 표기하지 않아 적발된 건수만 4백 건이 넘는데, 대부분 적발이 어려운 포장마차나 뷔페, 휴게소 등 다중 이용 시설들에서입니다.

[김혜영/부산 동구 : 도미는 거의 90%가 일본산이라고 하더라고요. 그거 다 원산지 속여서 하잖아요. 그래서 굉장히 걱정됩니다.]

상인들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

[상인 : (일본산은) '전혀 안 먹는다 우리는' 이렇게 말씀하세요. 지금도 장사가 안 되는데 저 방사능(오염수 방류)하면 회를 전혀 안 드실 수가 있어요.]

[민은주/부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시중에 어떻게 유통되고 있는지, 밥상까지 올라오는 과정을 정확하게 모니터링 해야 할 것이고 그것이 일본에서 오는지, 중간에 (원산지가) 둔갑하고 있지는 않은지에 대한 (감시가 필요합니다.)]

국내로 들어오는 일본산 수산물은 한 해 평균 약 3만 톤.

원산지 표시 단속 강화도 중요하지만, 투명한 정보 공개와 전수조사 같은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정경문)

▶ 일본 원전 오염수 논란에 정부 "바다 위서 1시간 내 검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