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경기 침체 우려에, 기준금리 숨 고르기…연 3.5%로 동결

<앵커>

한국은행이 오랜만에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치솟는 물가를 붙잡기 위해서 그동안 기준금리를 계속 올려왔던 한국은행이 잠시 숨 고르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입니다. 물가가 아직 잡힌 것은 아니지만, 소비가 줄고 투자가 위축돼서 경기가 가라앉는 것이 더 심각하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오늘(23일) 첫 소식 김정우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4분기 우리 경제는 2년 6개월 만에 뒷걸음질 쳤습니다.

수출과 민간 소비가 발목을 잡았습니다.

무역 적자가 11개월 연속 이어졌고, 고금리에 사람들은 지갑을 닫았습니다.

기업도 비용 절감을 위해 채용을 줄이면서 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 폭은 22개월 만에 가장 작았습니다.

이런 여파로 한국은행은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석 달 만에 1.7%에서 1.6%로 낮췄습니다.

물가 상승률이 5%대로 아직 높은 수준이지만, 한국은행은 더 금리를 올릴 경우 심해질 경기 위축을 우려하면서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습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 : IT 경기 부진 심화로 수출 감소세가 이어지고, 높아진 물가 수준과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소비의 흐름도 약화됐습니다.]

금리가 더 오를 경우 부동산시장에 미칠 충격, 이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도 고려했습니다.

7연속 금리 인상 행진이 일단 멈추자 금융시장은 안도했습니다.

코스피는 1% 가까이 오른 채 장을 마쳤고, 최근 가파르게 올랐던 원·달러 환율도 하루 만에 1천300원 아래로 내려갔습니다.

하지만 금리 인상 기조가 꺾였다고 단정할 수 없습니다.

금통위원 6명 가운데 5명이 최종 금리 수준을 3.75%까지 열어둘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 : 이번 동결의 의미가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끝났다는 게 아니고 시간을 두고, 추가적으로 올릴 필요가 있는지 고려하는 결정이라고 이해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물가와 경기 사이 진퇴양난의 형국에서 이번 동결 조치는 마침표가 아닌 쉼표로 해석됩니다.

(영상취재 : 박현철, 영상편집 : 박지인)

▶ 우린 금리 숨 고르기, 미국은 인상?…격차 더 벌어진다면 (풀영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