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플랫폼 믿었는데…거실엔 외풍, 콘크리트도 그대로

<앵커>

요즘 소비자와 인테리어 공사 업체를 연결해주는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었습니다. 그런데, 유명 플랫폼을 통해 공사 업체와 계약했다가 피해를 봤다는 제보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제희원 기자입니다.

<기자>

경기도 포천에 사는 A 씨는 지난해 인테리어 중개 플랫폼 '오늘의 집'에서 리모델링 업체를 찾아 계약했습니다.

계약 금액은 6천만 원,

[A 씨/'오늘의집' 인테리어 피해자 : 편리하고 믿을 수 있고 다 인증된 업체라고 소개돼 있더라고요. 별점도 좋았고 안 좋은 리뷰가 전혀 없었어요.]

그런데 잔금을 모두 치른 후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작업이 다 끝나지 않았는데 해당 업체는 약속된 금액 외에 계속 추가 비용을 요구했습니다.

본사까지 찾아가 분쟁 조정을 요청했지만, 결국 돌아온 건 '해줄 수 있는 게 없다는 답변'이었습니다.

[A 씨/'오늘의집' 인테리어 피해자 : (플랫폼이) 되게 벌벌거리는 느낌이랄까. 너무 괘씸하고 진짜 화가 많이 나서 잠 못 이룬 날들이 많죠.]

거실 안으로 외부 바람이 들어오고, 바닥 콘크리트가 그대로 드러난 이 집도 비슷한 분쟁을 겪었습니다.

[B 씨/'오늘의집' 인테리어 피해자 : 검증된 업체를, 어느 정도 걸러진 상태에서 선정해줘야지… 그 이후에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서는 전혀 무책임한 반응이고요.]

플랫폼 측은 "분쟁을 적극 중재하려고 노력했고, 문제가 된 업체들은 모두 퇴출한 상태"라고 해명했습니다.

또 다른 플랫폼 '집닥'을 이용한 한 소비자도 분쟁 해결을 위한 플랫폼 업체 도움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했습니다.

[C 씨/'집닥' 인테리어 피해자 : 집닥에 믿고 의뢰했는데, 콜센터로 제가 전화를 하면 통화가 안 돼요. (공사업체는) 잔금을 빨리 안 준다고 현관문을 아예 뗐다고 그러더라고요.]

플랫폼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관련 인테리어 분쟁 민원은 최근 5년간 1천500여 건이나 발생해 계속 증가하는 추세인데, 실효성 있는 소비자 보호 조치는 마련되지 않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설치환·이상학, VJ : 박현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