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시리아 정권 홍보 이용, 용납 못해"…발목 잡힌 구호품

<앵커>

상황이 더 열악한 시리아에는 뒤늦게 구호품이 도착하고 있지만, 피해 지역에 제대로 전해지지 않고 있습니다. 10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내전이 구호품 전달까지 막고 있는 겁니다.

조지현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튀르키예의 한 이재민 급식소.

음식과 생필품을 받기 위해 긴 줄이 늘어섰습니다.

시리아의 사정은 튀르키예보다 훨씬 더 열악한데, 아직 까지 이재민들에게 구호품이 전달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헤크마트 하무드/시리아 이재민 : 우리는 우리 상처를 우리끼리 핥아주고 있다고요. 우리 시리아인들은 버림받았어요.]

시리아는 지진 피해를 입은 북서부가 반군 지역인 데다, 시리아 정부가 국제 제재를 받고 있어 지진 직후 여러 지원에서 소외됐습니다.

하지만 미국이 제재를 유예하고, 시리아 정부도 구호품 전달을 승인하면서 숨통이 트이는가 싶었는데 다른 복병이 나타났습니다.

시리아 반군 내 최대 파벌인 알 카에다 계열 무장단체가 "시리아 알 아사드 정권이 반군 지역을 돕는 상황이 정권 홍보에 이용되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며 구호품 전달을 막고 나섰기 때문입니다.

[예이르 페데르센/유엔 시리아 특사 : 정치는 잠시 미뤄두자고 모두에게 말하고 싶습니다. 지금은 시리아 사람들을 지원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고 협력해야 할 때입니다.]

13년째 이어진 내전으로 상하수도 시설과 의료 서비스가 취약한 시리아는 현재 콜레라 창궐 우려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튀르키예에서는 공무원들이 뇌물을 받고 부실건축을 용인하면서 철근 사용을 줄이고 불법 증축이 만연했던 실태가 잇따라 드러나고 있습니다.

특히 에르도안 대통령이 5년 전 총선을 앞두고 불법 건축업자들을 대대적으로 사면했던 것과 관련해 '에르도안 책임론'이 거세지면서 오는 5월 대선에도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영상편집 : 김진원, CG : 장성범)

▶ 일주일 견뎌낸 기적의 생명력…규모 7.0 여진 경고
▶ "딸과 오늘은 나갈 거라 매일 약속했지만…기도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