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국이 대신 낸 돈 안 받겠다" 입장 낸 강제동원 피해자

<앵커>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판결에 대한 우리 정부의 해법이 나온 지 닷새 만에 피해자인 양금덕 할머니가 한국 측이 대신 내는 돈은 받지 않겠다고 직접 입장을 밝혔습니다. 외교부는 최종안이 마련되면 동의를 구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김아영 기자입니다.

<기자>

[중단하라. 중단하라.]

강제동원 배상 확정 판결을 이끌어낸 피해자 15명 가운데 생존자는 불과 3명.

이 가운데 미쓰비시 피해자인 양금덕 할머니가 기자회견장에 나왔습니다.

[양금덕/강제동원 피해자 : 지금 아흔넷이지만 내일 죽는 한이 있어도 안 받으렵니다. 그런 더러운 돈은….]

양 할머니는 우리 기업의 재원으로 배상금을 지급하는 안에 대해 명확히 반대 입장을 밝힌 것인데, 일본의 사과도 거듭 요구했습니다.

[기자회견 참석자 : (가해 기업이) 손해 받은 자에게 피해 배상을 해야 그것이 배상인 것이지! (옳소.)]

외교부가 이른바 '중첩적 채무인수'안을 공론화한 지난 12일 토론회 이후 피해 당사자가 입장을 밝힌 것은 처음입니다.

[양금덕/강제동원 피해자 : 돈을 그렇게 해서 (일본이) 무릎 꿇고 빌기 전에는 안 받아요.]

이런 반발을 의식한 듯 조현동 외교부 1차관은 국회에서 피해자들에 대한 설득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조현동/외교부 1차관 : 핵심은 원고인 피해자 및 유가족분들께 직접 찾아뵙고 수령 의사를 묻고 충실한 설명과 동의를 구하는 과정을 거칠 것이라는 점입니다.]

해법이 마련되면 확정 판결을 받지 못한 관련 소송에 대해서도 비슷하게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는데, 일본 정부가 어느 정도 호응 조치를 내놓을지는 미지수입니다.

한일 외교 당국 간 줄다리기가 진행 중인 가운데, 서울에서는 양국 정계 인사가 참여하는 합동 회의가 열렸습니다.

이 자리에 두 나라 정상은 양국 간 현안, 즉 강제동원 피해 배상 등 과거사 문제의 해결을 강조하는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영상취재 : 박영일, 영상편집 : 김진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