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중국발 국내 영향 없었다…'21억 대이동' 춘절이 고비

<앵커>

우리 방역 당국은 중국의 코로나 확산세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은 미미하다는 1차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중국 최대 명절 춘절이 앞으로 고비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함께 내놓았습니다.

조동찬 의학전문기자입니다.


<기자>

방역 당국은 지난 2일부터 7일까지 중국에서 입국해 코로나 검사를 마친 5천6백여 명의 분석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임숙영/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 : 전체 중국발 입국자의 양성률은 이에 따라서 19.6%임이 확인이 되었습니다. ]

중국을 포함한 외국 국적자의 양성률은 17.9%로 한국 국적자 양성률 19.1%보다 조금 낮았습니다.

중국의 음성 확인서 위조 가능성은 적은 겁니다.

중국발 변이는 BF.7과 BA.5가 1, 2위를 차지했고 우리나라 자체 변이는 BN.1과 BA.5가 1, 2위였습니다.

우리나라와 중국 모두 BA.5가 우세종이었는데, 최근 중국은 BF.7로, 우리나라는 BN.1로 바뀐 겁니다.

방역 당국은 중국발 변이의 국내 영향은 없고 국내 자체 변이 변화도 안정적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유천권/중앙방역대책본부 진단분석단장 : BN.1이 확진자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으며, 중증도 증가 관련 보고가 없습니다.]

하지만 중국 최대 명절 춘절은 고비가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연인원 21억 명이 이동하면 확산세와 변이에 새로운 파장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주일 평균 코로나 신규 확진자는 9.6% 떨어졌는데, 7차 유행 들어 가장 크게 감소했고 감염재생산지수도 0.95, 처음으로 1밑으로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줄어들던 주간 신규 중환자 숫자가 다시 14% 늘어난 점은 불안 요소입니다.

일시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코로나가 고위험군으로 확산하는 신호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영상취재 : 김민철, 영상편집 : 김민성, CG : 제갈찬·엄소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