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격리시설 춥나요? 온수는?"…루머에 확진 중국인 답하다

<앵커>

이런 중국 관영매체와 일부 네티즌들의 주장이 맞는지, 저희 취재진이 입국 과정과 격리시설을 직접 돌아봤습니다. 여러분도 직접 눈으로 확인해보시죠.

신용식 기자입니다.

<기자>

중국발 입국자 중 단기체류자는 공항에서 PCR 검사를 받습니다.

이때 국적에 관계없이 노란색 식별표를 목에 걸고 검사장으로 가는데, 다른 나라 입국자나 특히 중국인 장기체류자와 섞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입국 후 검사에서 확진 판정을 받게 되면 이렇게 공항 근처에 마련된 임시 격리 시설로 이동하게 됩니다.

제가 직접 들어가 보겠습니다.

공항 근처에 마련된 격리 시설은 총 3곳, 보통 한 방에 한 명씩, 원하는 방에 따라 하루 9만 원에서 15만 원을 자비로 부담합니다.

층마다 폴리스라인이 처져 있고, 출입구 근처엔 군인과 경찰이 상주합니다.

전문 통역사도 대기하고, 많이 아픈 환자는 방역 택시를 타고 병원에 갈 수도 있습니다.

객실 내부도 중국에 소문난 것과 전혀 다릅니다.

실제로 중국발 확진자들이 머물렀던 객실 내부를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지금 보시면 일반 호텔과 동일하게 침구류가 마련돼 있고요.

또 옆으로 보시면 방마다 개인 난방이 가능하게끔 온도제어기도 설치돼 있습니다.

화장실도 살펴보면요.

이렇게 온수도 잘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발 확진자 : (방 안이 춥습니까?) 안 춥습니다. (온수는 잘 나오나요?) 잘 나옵니다. (따로 불편한 건 없으신가요?) 괜찮습니다.]

나머지 격리 시설 2곳 역시 침대와 따뜻한 물이 나오는 화장실은 기본입니다.

[김숙영/중수본 의료자원지원팀장 : 이 3개 시설은 평소에 중국 관광객들이 이용하던 관광호텔급 이상의 객실(입니다.)]

그제(10일) 기준으로 격리 시설 3곳에서 32명이 격리를 마치고 떠났고, 지금은 확진자 86명이 격리 중입니다.

(영상취재 : 강동철, 영상편집 : 윤태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