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숨진 집주인이 서명?…보증금 떼먹는 '빌라왕' 배후 있나

<앵커>

1천 채가 넘는 빌라를 임대한 사실상 서류상 집주인이 갑자기 숨지면서 피해자가 속출한 사건과 같은 형태의 전세 사기 사건이 계속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른바 '빌라왕'과 같은 방식으로 주택을 사들인 바지사장들이 숨지면서 또 다른 전세 사기 피해가 속속 드러나고 있습니다.

안상우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양천구 신정동의 4층짜리 빌라.

이곳에 있는 주택 11채 가운데 4채는 숨진 '빌라왕' 김 모 씨 소유이고, 또 다른 바지사장 정 모 씨도 이곳에서 3채나 소유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정 씨도 지난해 7월 갑자기 숨졌습니다.

이후 세입자들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A 씨/전세사기 피해자 : 저희는 두 가지 방법밖에 없어요. '누가 경매에서 낙찰을 받아주느냐', (아니면) '저희가 직접 매입을 하느냐' 이 둘 중에 하나로 가야 하는데, 그런데 누가 이걸 낙찰을 받겠냐는 거죠, 경매에서.]

확인 결과 정 씨 소유로 파악된 주택 240채 가운데 전세금 보증보험에 가입된 건 불과 35채.

전세 계약을 집중적으로 체결한 직후 사망했기 때문에 대다수 세입자들이 보험 가입을 하지 못한 겁니다.

[B 씨/전세사기 피해자 : (정 씨가) 5월에서 7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계약을 맺고 7월에 사망을 해서 (전세금 보험) 가입 완료까지는 되지 않은 분들이 대부분입니다.]

사망한 후 보증보험 신청서에 정 씨 이름으로 전자 서명이 된 것이 확인돼 전세 사기 배후 의혹도 제기된 상태입니다.

지난 12일에는 인천 등에 빌라와 오피스텔 수십 채를 보유한 20대 송 모 씨가 사망하면서 송 씨의 세입자들도 같은 처지에 처했습니다.

숨진 바지사장 피해 일파만파

피해자들은 정부 세종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대책을 촉구했습니다.

[C 씨/전세사기 피해자 :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희생하고 신용불량자로 몰리게 되고 있는 현실이 너무나 안타깝습니다. 빨리 이제 정부에서 대책을 세워주셔서….]

이른바 '바지사장'이 개입된 전세사기 위험 경고는 이미 1년 전부터 시작됐는데 정부의 대응은 미흡했단 목소리가 나옵니다.

(영상취재 : 김민철, 영상편집 : 신세은, VJ : 김상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