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6% 예금에 '긴 줄'…대출 금리 부메랑

<앵커>

금리가 크게 오르면서 돈을 최대한 안전하면서도 이자는 더 쳐준다는 예금을 찾는 분들이 요즘 많습니다. 그런데 이런 추세가 확산되면 나중엔 오히려 이자가 더 오를 걸로 분석됩니다.

이유가 왜 그런지, 전연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이른 아침인데도 사람들이 길게 줄을 서서 번호표까지 받습니다.

하루만 6.2% 이자를 주는 예금을 판다는 소식에 금고 문이 열리기 전부터 사람들이 몰린 겁니다.

[문순기/서울 강남구 : 제가 (아침) 6시 40분에 왔고요. 저보다 한두 명 정도 먼저 와 계셨고….]

주식하던 돈, 적금 붓던 돈을 찾아서 가지고 온 사람이 적잖습니다.

[김강재/서울 강남구 : 3백억 원 한정이라고 지금 돼 있어서 미리 나와서 준비해서 하려고, 다른 적금 깨서 여기로 이동하려고 왔습니다.]

고금리 예금을 쫓는 현상은 수치로 증명됩니다.

지난 달 은행에 새로 가입한 정기 예금은 56조 2천억 원으로 20년 만에 최고 기록을 세웠습니다.

반대로 0.1% 안팎 이자만 주는 보통예금에선 그 사이에 44조 2천억 원이 빠졌습니다.

저금리 때는 이자 따지지 않고 넣어놨던 돈들을 너도나도 찾아서 5~6% 대 예금에 맡기는 겁니다.

그런데 이런 현상이 빚을 진 사람에겐 나쁜 소식입니다.

은행이 더 많은 이자를 주고 돈을 끌어모아 더 비싼 이자를 받고 빌려주는 이자 장사를 하기 때문입니다.

[서지용/상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대출금리를 추가 인상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대출을 받는 분들은 오히려 예금금리가 인상돼서 얻은 이익을 다시 대출금리 지급으로 지출해야 하는 (부담이 됩니다.)]

내년 초까지 추가로 금리가 오르기를 기다리는 현금 주인들도 적잖은 만큼, 예금 금리가 오르면서 동시에 대출 이자를 더 끌어 올리는 현상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