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MBC 전용기 배제 논란에…돌아본 윤 대통령의 '언론관'

<앵커>

대통령실이 MBC 기자의 전용기 탑승을 거부해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언론 자유를 강조했지만, 한편으로는 정치적 기준에 따라 언론을 가르거나 적대시한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습니다.

몇 달 전 미국 순방에서 이른바 '비속어 논란'이 불거진 후, 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데, 강청완 기자가 논란의 지점을 살펴봤습니다.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자유 민주주의의 근간은 표현의 자유"에 있다며 언론 자유를 강조해왔습니다.

지난해 8월 민주당의 언론중재법 개정 시도엔 언론에 재갈을 물리려 한다고 강력 비판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지난해 8월 22일) : 1987년 민주화 이후 언론의 자유를 제약하는 어떠한 시도도 없었습니다.]

당선 뒤에는 초유의 출근길 문답을 꾸준히 이어가며 언론과 소통 의지를 보인다는 평가도 받았습니다.

[윤석열 대통령/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 (8월 17일) : 민심을 가장 정확하게 읽는 언론 가까이에서 제언도, 쓴소리도 잘 경청하겠습니다.]

윤 대통령은 그러나 이른바 비판적 언론에는 강한 적대감을 드러내거나 정파적 시각으로 언론을 구분하는 모습을 종종 보였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지난 3월 6일 : 갖은 못된 짓 다 하는데 그 첨병 중의 첨병이 바로 언론노조입니다. 여러분! 말도 안 되는 허위보도 일삼고….]

윤 대통령처럼 언론중재법 개정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던 원로 언론인 이부영 자유언론실천재단 이사장은 전용기 탑승 배제 조치를 이렇게 꼬집었습니다.

[이부영/자유언론실천재단 이사장 : 대통령이 말씀한 자유, 자유 언론, 이런 것을 억압하는 자세가 아닐까.]

'언론 자유'라는 헌법적 가치와 정파적 구분 짓기는 그 자체로 모순적이라는 겁니다.

그러면서 언론과 기자들의 위축을 우려했습니다.

[이부영/자유언론실천재단 이사장 : 누구 한 사람 불러내서 집어서 몰매 때리고 '너희들도 잘못하면 이렇게 돼' 하고 협박하는 거 아니에요. 아마 조금은 다른 기자들이 위축이 됐었는지도 몰라요.]

윤 대통령이 '국익'을 이유로 들었지만, 이 이사장은 외신들이 이미 이번 조치를 한국의 '언론 자유 침해'로 보고 있어서 오히려 국익을 해칠 수 있다는 걱정도 전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