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원전해체연구소 첫 삽…탈원전 폐기 기조 속 전망 '우려'

<앵커>

원전해체 산업을 이끌어갈 원전해체연구소가 2026년 준공을 목표로 첫 삽을 떴습니다. 원전해체 시장을 선점할 마중물이 될 전망이지만 탈원전 정책 폐기 기조 속에 제 기능을 못 할 거라는 우려도 나옵니다.

배대원 기자입니다.

<기자>

국내 첫 원전해체연구소가 첫 삽을 떴습니다.

총 2천500억 원이 투입, 울산과 부산 접경지역 부지에 연면적 2만 2천500㎡ 규모로 건립됩니다.

사무동과 연구동, 실증시험동 등 건축물이 2025년에, 이듬해 하반기에 240종의 기술개발 연구 장비가 갖춰지며 모든 공사가 끝이 납니다.

원전해체연구소 건립에만 2천200여 명 규모의 고용효과가 발생하고, 2030년까지 4천500여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황주호/한국수력원자력 사장 :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시설과 장비를 집적화하여 원전 해체 산업을 육성하고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핵심 기반이 될 것입니다.]

원전해체연구소의 첫 번째 임무는 지난 2017년 영구 정지된 고리 1호기의 안전 해체를 위한 기술 확보, 이 과정에서 지역 기업 219곳이 원전해체 과정에 참여할 잠재력을 갖춘 것으로 파악됐으며 원전해체 전문기업도 활발하게 유입될 걸로 울산시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서남교/울산시 기획조정실장 : 중앙 부처, 부산시, 경상북도 등과 함께 협력을 통해 세계 최고의 원전 해체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관련 클러스터가 형성·발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하지만 정부가 원전해체 사업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어 해체연구소의 위상과 역할이 축소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내년 4월 설계수명이 다하는 고리 2호기의 10년 추가 연장 운행이 결정되면 고리3, 4호기도 해체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050년 세계 원전해체 시장이 200조에 달할 걸로 점쳐지며 각 시도가 유치에 사활을 걸었던 원전해체연구소, 국내 원전해체 시장의 축소가 예고된 가운데 당초 기대치를 충족할지 주목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