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소득 줄었는데 '반짝 소비'…위태로운 경제 성장

<앵커>

수출 상황이 나쁜데도 통계상으로는 우리 경제가 성장하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거리두기가 느슨해지면서 소비가 반짝 늘어난 것이 수치에 영향을 준 것인데요. 문제는 국민들 손에 쥔 소득이 계속 줄고 있다는 것입니다. 주머니는 계속 비어가는데 지금과 같은 소비가 계속 이어질 수 있을지 위태로운 상황입니다.

전연남 기자입니다.

<기자>

시장에서 6년 넘게 속옷을 팔아온 박소망 씨도,

[박소망/속옷 업체 운영 : 솔직히 어려워요, 지금이 훨씬 더 어려워요. 코로나 처음 할 때보다. 우리는 계속 진짜 하락이에요, 밑바닥 진짜… (장사)한 것 중에 최악이야.]

간판 일을 하는 박동수 씨도,

[박동수/간판 업체 운영 : 그전에 할 때는 한참 할 때는 많이 했죠. 지금은 한 달에 뭐 지난달에도 돈 100만 원어치도 못 하고 놀고 있는데….]

경제가 어려워지는 것은 국민 소득이 줄어든 이유도 있습니다.

2분기에 국민이 손에 쥔 소득, 그래서 구매력을 보여주는 실질 GNI가 1분기보다 1.3% 떨어졌습니다.

실질 GNI는 올해 1분기만 빼고 작년부터 계속 마이너스 행진입니다.

국내총생산 GDP는 내내 성장해 경제가 버티는 것처럼 보여도, 동시에 지갑은 점점 얇아져 구매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2분기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그나마 바깥 활동에는 돈을 쓰면서 음식, 숙박, 오락 문화 등을 중심으로 소비가 2.9% 늘었습니다.

소비 말고는 성장에 도움을 준 부분이 없었습니다.

수출이 3.1% 쪼그라들었고, 건설과 설비 투자도 기여도가 0%였습니다.

결국 소득이 뒷받침되지 않은 상태에서 반짝 소비로 경제가 유지된 셈입니다.

[최정태/한국은행 국민계정부장 : (향후 우리 경제는)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주요국 금리 인상 등에 따른 글로벌 경기 둔화 영향으로 수출 둔화 폭이 점차 확대되면서 성장 흐름이 약화될 것으로 보이고요.]

환율은 또다시 연중 최고치인 1,355원까지 뛰어 물가 상승 압력은 더 커진 상황.

얇아진 지갑을 아예 닫을 수 있어서 경기 침체 우려는 더 커지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조무환, VJ : 정영삼·박현우)

▶ "반도체마저"…66년 만에 최대 무역 적자 났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