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잠실 아파트값 5억 '뚝'…"체감 하락폭 더 크다" 왜?

<앵커>

서울과 수도권에서 몇 달 사이 아파트값이 뚝뚝 떨어지고 있습니다. 강남 3구라고 불리는 송파구 잠실에서도 최고가보다 5억 원 가까이 아파트값이 떨어져서 하락세가 너무 가파른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상우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송파구 잠실의 이 아파트 전용면적 59제곱미터가 3주 전 17억 원에 팔렸습니다.

지난해 9월 최고가에 비해 거의 5억 원 떨어지면서 1년도 안 돼 20% 넘게 빠졌습니다.

서대문구에서도 같은 면적 아파트가 최고가에서 30% 가까운, 3억 5천만 원 떨어졌습니다.

서울 아파트값은 5월부터 쉼 없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그래도 1년도 안돼 2~30% 떨어진 곳이 속출하는 건 이례적입니다.

비슷하게 집값이 올랐다가 내렸던 2000년대 후반, 서울 강남 평균 집값이 두 배 정도 올랐다가 7년 동안 완만하게 20% 정도 하락한 것과 대비됩니다.

이번에는 매수세가 너무 일찍 꺾였다는 해석입니다.

[김규정/한국투자증권 자산승계연구소장 : 급매 외에는 거래가 되지 않고, 오름폭도 워낙 컸다 보니, 급매 거래가 늘어나게 되면 현재보다는 조정폭이나 조정 속도가 향후 좀 더 빨라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 10여 년 전 가격보다 배로 뛴 상황이라 같은 비율로 하락해도 심리적 충격이 더 크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우병탁/신한은행 WM컨설팅센터 부동산팀장 : 지난 3년 동안 상승폭이 워낙 컸었기 때문에 총액이 굉장히 높아진 거죠. 그러다 보니까, 같은 퍼센티지로 떨어진다고 해도, 당연히 금액으로 표시한 금액은 더 크게 보일 수밖에 없는 요소가 있는 것 같고요.]

집 사겠다는 사람은 더 줄고 있어 급매물이 팔리면 그게 곧 시장 가격이 되는 상황이 한동안 이어질 걸로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