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의총 논의 '속전속결'…윤 대통령 의중 반영됐나

<앵커>

국민의힘 취재하고 있는 엄민재 기자와 이야기 더 나눠보겠습니다.

Q.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가나?

[엄민재 기자 :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국민의힘 당헌 당규상 의원총회는 비대위 전환을 의결하는 기구가 아닙니다. 비대위는 당 정책을 총괄하는 전국위원회 의결을 거쳐야 합니다. 그런데 현재 전국위원회 의장인 서병수 의원은 "비대위 전환 명분이 없다"며 회의 소집에 부정적이거든요. 이준석 대표 역시 비대위원장 임명 권한이 당 대표인 자신에게 있다는 입장이어서 법적 분란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Q. 속전속결로 논의가 진행된 이유는?

[엄민재 기자 : 결과적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됐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전후 상황을 취재해 봤거든요. 이준석 대표 징계 뒤에 윤 대통령은 일종의 '투 트랙' 방식을 원했다고 합니다. 즉 당은 비대위 체제로 전환하고, 권성동 원내대표는 국회 일에만 집중하기를 바랐다는 거죠. 그런데 권 원내대표가 당 대표 직무대행 업무도 같이 할 수 있다고 설득해서 그렇게 간 건데 이후 대통령실 사적 채용 논란, 대통령 문자 공개 등 치명적 실수가 잇따르고 국정 지지율도 급락하자 대통령실 기류도 바뀌었다고 답니다. 애초대로 당을 조속히 비대위로 전환하자. 이런 대통령 의중이 주말 사이 '윤핵관' 의원들을 통해 당에 전해졌고 속전속결로 의원총회로 이어졌습니다.]

Q. 당 개편으로 반등 계기 만들까?

[엄민재 기자 : 사실 최근 여론조사 결과들을 보면 국정수행 지지율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게 바로 '인사 문제'입니다. 책임 있는 사람에 대한 인적 쇄신이 급선무라는 건데요. 과거 보수 정부 사례를 봐도, 2008년 '광우병 파동'으로 지지율 급락을 겪었던 이명박 전 대통령은 취임 넉 달 만에, 박근혜 전 대통령도 정권 초기 성과 부진을 이유로 160여일 만에 청와대 비서진을 대대로 교체한 적이 있습니다. 아울러 국정에 임하는 대통령의 태도가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도 많은데요. 비판 여론에도 귀를 열고 인재풀을 좁게 고집하지 않는 등 한때의 양보와 후퇴가 더 큰 과실로 돌아오는 게 대통령제의 정치라는 거죠.]

▶ "비상 상황 동의"…국민의힘, '비대위 전환' 결의
▶ 윤 대통령, 휴양지 방문 취소…사저서 수습책 고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