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51일 파업은 끝났지만…원-하청 노동 문제 손도 못 대

<앵커>

50일 넘게 이어진 대우조선 해양 하청노동자들의 파업이 노사 협상 타결로 마무리됐습니다. 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풀어야 할 과제는 여전히 많습니다. 원청과 하청의 오랜 갈등이 조선업계 현장에 그대로 남아있어,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단 지적이 나옵니다.

조윤하 기자입니다.

<기자>

대우조선 하청노조가 51일간 극한 파업 끝에 받아든 건 월급 4.5% 인상입니다.

[대우조선해양 하청 노동자 : 안타까운 점이 많죠. 많지만 힘없고 '빽' 없고, 없는 사람들이 뭐 한꺼번에 가지려면 가져집니까. 안 되지.]

50대 숙련공 월급이 10만 원 정도 오르는 건데, 이런 극단적 방법 아니고는 그마저도 얻기 힘든 게 하청 노동자의 현실이라고 이야기합니다.

[대우조선해양 하청 노동자 : 4.5% 해봐야 얼마나 하겠어요. 그게. 시간당 450원. 정부에서 좀 알아줬으면 좋겠어. 이런 인건비 구조 자체를 좀 어떻게 할 수 있는 그런 방법을. 나보다 많이 배우고, 전문가들이고, 그런 사람들이니까.]

파업 과정에서 서로에게 화살을 겨눈 대우조선 본사 직원과 하청 노동자 사이에는 적잖은 상처를 남겼습니다.

[대우조선해양 원청 노동자 : (원·하청) 서로 삿대질할 일이 아니에요. 끝없이 같이 가기 위해서 부단한 노력들이 필요한 거죠.]

먹이사슬 맨 위에 있는 조선회사가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하청 노동자를 쉽게 쓰고 쉽게 해고하는 구조는 이번에도 손도 대지 못했습니다.

[조경배/순천향대학교 법학과 교수 : 원청이 그냥 사업을 딱 스톱 (중단)하는 순간에 그 기업들은 다 문 닫는 거예요. 법적 책임은 하청업체에 지우고 이익은 원청이 다 가져가는 구조이기 때문에….]

15년째 거제에서 원청, 하청 노동자 모두와 친구로 이웃으로 지내는 김주율 씨도, 상처만 봉합하고 끝났다며 아쉬움을 나타냈습니다.

[김주율/경남 거제 시민 : 오랫동안 이렇게 내려온 부분 아닙니까 이게, 조선소 구조가. 그 문제점을 하나하나씩 뜯어놔야 돼요. 다 아프죠, 마음은. 누구든지 이번이 마지막이 되었으면….]

파업을 시작한지 51일째, 이제 이 조선소는 평소처럼 운영될 겁니다. 

재발을 막기 위해선 아무 일 없었던 듯 돌아갈 게 아니라, 근본적인 원, 하청 구조 자체를 바꿔야 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