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폭염에 온열질환 급증…방심하면 혼수 · 사망까지

<앵커>

어제(10일) 서울 낮 최고기온이 35.1도까지 올라가며, 올해 들어 가장 높았습니다. 올여름 평균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거란 관측도 나오고 있는 가운데 이미 일사병, 열사병 같은 온열 질환도 늘고 있습니다.

유승현 의학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김현중 씨는 몇 해 전 한낮 기온 34도였던 여름날을 잊을 수 없습니다.

한강에서 인라인스케이트를 타다가 이상증세를 느낀 겁니다.

[김현중/(54세) 온열질환 경험자 : 갑자기 몸이 너무 뜨거운 거예요. 손가락이 막 오그라들더라고요. 발가락까지. 심장이 막 뛰고 막 숨이 잘 안 쉬어지고.]

올해는 유난한 무더위에 온열질환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지난 7일까지 653명이 발생했는데, 지난해 같은 기간의 네 배 정도로 벌써 6명이 숨졌습니다.

온열 질환은 서늘한 곳에서 물을 마시며 쉬면 대부분 낫는데 다리가 부을 땐 심장보다 높게 다리를 올려주면 됩니다.

그런데 몸속 수분과 염분이 일정 농도 아래로 떨어지고 머릿속 체온조절 중추가 고장 날 땐 빨리 치료받지 않으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열사병인데, 두통과 어지럼증, 구토로 시작해 체온이 40도 넘게 올라가지만 오히려 대부분 땀은 나지 않습니다. 

이럴 땐 물과 얼음으로 몸을 차갑게 하고 빨리 병원에 가야 합니다.

[김준성/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 알코올이나 카페인이 든 음료들은 이뇨 작용이 있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중요하고 의식이 저하되면 흡인을 할 수가 있고 무리하게 음료를 준다거나 이런 행동은 오히려 위험할 수가 있으니까 (주의해야 합니다.) 해열제를 먹어도 큰 효과가 없는….]

무더위에 외출할 땐 물을 더 자주 마시고 이상 증상이 느껴지면 체온부터 빨리 낮춰야 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