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산불 피해 복구 시급한데…연락 안 되는 산주들

<앵커>

지난 3월 산불로 피해를 입은 경북 울진에서 산림 복구 작업이 시작됐습니다. 그런데 복구 작업을 위해선 산 소유주인 산주들의 동의가 필요한데, 연락이 안 돼 복구 시기가 늦어지고 있습니다.

박예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3월 대형 산불이 발생했던 경북 울진군입니다.

최근 이곳에서 위험한 지역들을 우선적으로 불에 탄 나무들을 벌채하려고 하는데, 산주들이 연락이 안 돼 막막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울진 산불 피해 면적은 서울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약 1만 4천 헥타르인데, 긴급 벌채가 시급합니다.

불에 타 휘어지거나 쓰러져 있는 나무들이 장마나 태풍으로 2차 피해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울진 산불 피해 지역 중 국유림 4천2백 헥타르는 언제라도 벌채가 가능한데, 나머지 9천8백 헥타르의 사유림이 문제입니다.

민가나 도로변 300m 이내 750헥타르를 긴급 벌채 구역으로 지정했지만, 사유재산인 이 지역의 나무를 베려면 반드시 산주 동의를 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연락이 안 되는 긴급 벌채 구역의 산주가 전체의 40%에 달합니다.

[울진군 관계자 : 저희가 1,900명 이상 동의서를 요청드렸는데 반송되는 건 한 300~400부 정도.]

벌채 작업이 늦어지면서 주민 불안은 커지고 있습니다.

[남영애/울진군 주민 : 엄청 불안하죠. 나무도 그렇고 축대가 무너지면 집도 엉망이고.]

지난달 초 벌채를 시작할 예정이었던 군청은 벌채 구역 확정도 하지 못했습니다.

[정호림/울진군 산림보호팀장 : 뭘 할 수가 없어요. 만약 그렇게 했다가 손해배상을 요구한다든지 그러면 다 해줘야 되니까.]

벌채가 늦어질수록 5년간 진행될 예정인 울진군의 산림복구계획도 늦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주민 안전을 위협하고 산림복구작업까지 지연되는 만큼 시급한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