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교육부, 반도체 관련 학과 입학 정원 대폭 늘린다

<앵커>

교육부가 대학의 반도체 관련 학과 정원을 크게 늘리기로 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반도체 인력 육성 방안을 강하게 주문한 뒤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는 건데, 어떤 부분을 신경써야 할지도 함께 짚어봅니다.

김경희 기자입니다.

<기자>

국내 반도체 산업은 빠른 성장을 거듭하며 우리 경제의 주축이 됐지만, 만성적인 인력난에 시달려야 했습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 : 학부 시절부터 반도체를 공부하고 오는 사람이 없어요. 컴퓨터공학, 화학, 물리 등을 공부하고 온 사람들이 실제 현장에서 일을 할 수 있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삼성전자나 SK 하이닉스 등은 채용을 조건으로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는 계약학과까지 운영하고 있지만, 턱없이 부족한 수준입니다.

정부는 미래 성장을 책임질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반도체 관련 학과의 입학 정원을 대폭 늘리기로 했습니다.

[한덕수/국무총리 : 이제 공급 주도 (supply led)의 인재 양성으로 바꾸자. (인력이) 남아도 충분하게 만들어 놓자. 그러면 산업이 커집니다. 그건 정말 그래요.]

수도권 대학과 지방대의 신입생 정원을 같은 수준으로 늘리되, 상황이 열악한 지방대에는 재정 지원을 더 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수도권 입학 정원은 법으로 묶여 있는데, 법을 고치지 않고 확대하는 방안부터 찾고 있습니다.

학령인구 감소에 대비해 이미 줄여놓은 정원 8천 명을 다시 늘리거나, 모자라면 대학 입학 정원 총량을 확대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반도체 관련 학과 설립 요건을 완화해 주고, 다른 전공 재학생도 융합 전공과정을 활용해 첨단산업 전문인력으로 양성한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반도체 등 첨단학과 정원 확대가 수도권 대학 쏠림을 가속화해 지방대 소멸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지방대 경쟁력 확보 방안이 함께 제시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김민철, 영상편집 : 김종미, CG : 조수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