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현대판 리베이트" 간납업체에 대해 들어보셨습니까

<앵커>

상당수 병원이 의료기기나 치료 재료를 판매 업체에서 직접 구매하지 않고, 간접 납품업체에서 납품받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리베이트와 갑질 같은 의혹이 불거지자, 정부가 대형병원과 거래하는 업체 61곳에 대해 조사에 나섰습니다.

한성희 기자입니다.

<기자>

수도권의 한 병원 대표인 A 씨는 지난 2018년 2천만 원의 벌금형을 받았습니다.

병원과 함께 의료기기 간납업체를 실질적으로 운영하면서 싸게 사들인 치료 재료들을 비싸게 산 것처럼 속여 환자와 건강보험공단에 비용을 청구한 겁니다.

간납업체는 간접 납품회사의 줄임말입니다.

보통 병·의원들과 계약을 맺고 의료기기 구매를 대행하는데, 일부 병원들은 이들 간납업체를 통해서만 의료기기와 치료재료 등을 받습니다.

그런데, 간납업체 상당수가 병원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사실상 병원 대신 판매업체로부터 리베이트를 받는 창구 역할을 한단 겁니다.

[피해 의료기기 업체(대리점) 대표 : (간납업체가) 다 병원하고 같은 곳이라고 생각을 하지, 분리해서 생각은 안 해요. 간납업체가 병원에다가 이익을….]

일부 간납업체들은 납품가 후려치기는 물론, 대금 지급을 늦추는 식의 횡포를 부리기도 합니다.

[피해 의료기기 업체(대리점) 대표 : 할인율 18%를 받고, 돈은 또 5개월 내지 6개월 후에 준다고…. 늘 은행에서 빚을 내서 (대리점으로서는) 물건을 받는 공급(제조) 업자한테 물건비를 미리 내고 그러면서 계속, 복구할 수 없는 사이클이 되는 거예요.]

간납업체와 분쟁이 생기면 사업 자체를 접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김현희/변호사 : (간납업체에) 법적인 어떤 조치를 의료기기 업체에서 취할 경우에 이거는 사실 의료기관에 찍히는 것이기 때문에….]

보건복지부는 현재 대형 간납업체 61곳을 중심으로 실태 조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