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9월부터 '검찰 권한' 대폭 축소…"법률 곳곳에 허점도"

<앵커>

이른바 검수완박 입법이 마무리 되면서 검찰의 수사 권한은 대폭 축소됐습니다. 그런데 불과 한 달도 안 돼 형사 제도 근간을 뜯어고치면서 야당은 법치주의에 조종을 고했다고 비판했고 헌재에서도 논란은 계속될 걸로 보입니다.

그리고 법 자체에서도 허점들이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는데 어떤 허점들이 있는지 김관진 기자가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기자>

검찰이 직접 수사할 수 있는 범죄는 종전 6가지에서 부패, 경제 2가지로 줄어듭니다.

선거범죄는 6월 지방선거를 고려해 내년부터, 나머지 범죄는 9월 4일부터 경찰이 전담합니다.

2개 범죄 수사권도 나중에 중대범죄수사청으로 넘긴다는 게 민주당 복안이어서, 국회 논의 상황에 따라 검찰의 직접 수사 개시 권한은 더 쪼그라들 수도 있습니다.

검찰은 경찰이 혐의를 인정해 송치한 사건만 직접 보완수사를 할 수 있고, 경찰이 무혐의 처리한 뒤 이의신청이 들어와 검찰로 온 사건은, 동일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그러니까 경찰이 본 범죄 혐의 안에서만 수사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기존엔 고소인, 고발인, 피해자 중 누구나 이의신청할 수 있었는데, 고발인은 이의신청을 할 수 없게 빼버렸습니다.

경찰 수사 결과를 못 받아들이겠으니 검찰이 다시 봐달라는 불복 절차에 제한을 둔 건데, 내부고발자나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해 시민단체 등 3자가 대신 고발하는 사건의 이의 제기가 봉쇄되고 결국, 피해는 국민 몫이란 우려가 나옵니다.

[한상희/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참여연대 공동대표) : (경찰의) 불송치 결정 자체가 법원의 확정 판결 이상의 효력을 가지게 됩니다. 불송치 결정이나 또는 수사의 내용에 대해서 고발인들이 다툴 수 있는 방법이 없어지거든요.]

동일성 규정에 따라 경찰이 정한 범죄 혐의 안에서만 판단이 이뤄질 가능성이 더 커졌습니다.

현직 판사는 실명 기고문을 통해 수사권 조정 여파는 이미 증거기록의 부실화로 나타나고 있다며 혼란의 결과는 온전히 국민이 부담할 거라고 비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